"배출권거래제 1·2차 계획기간 동안 꾸준한 투자를 통해 동종 세계 최고 수준 에너지 효율을 갖췄다. 온실가스를 더 감축하려면 추가적인 감축기술 개발과 상용화가 절실하다"
배출권거래제 3차 계획기간(2021~2025년) 시작 시점이 불과 두 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재계에서 나온 호소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 364개를 대상으로 '배출권거래제 대응실태'를 조사해 결과를 26일 밝혔다. 설문결과는 지난달 22~30일에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 총 611개사를 전수조사한 뒤 응답한 364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설문에서 배출권거래제 3기에 '온실가스 감축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응답 기업 중 36.3%에 그쳤다. 이유로는 '감축투자를 위한 아이템 부족' 응답이 59.1%나 나왔다.
문제는 배출권거래제 계획 기간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점 감축 투자 계획 의향 기업이 줄고 있다는 점이다. 온실가스 감축 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1기인 2015~2017년에는 76.3%나 됐지만 2기인 2018~2020년에는 62.9%로 준데 이어 3기에는 36.3%까지 급감한 것이다.
감축 부담은 점점 커지는데 추가 기술 개발에는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때문에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들은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는 응답을 내놨다.
기업들은 3기에 정부가 추진해야할 중점과제 1순위로 '온실가스 감축기술 개발 보급'(30.3%)를 꼽았다. 뒤를 이어 '배출권 가격 안정화'(28.8%), '감축투자 자금지원 확대'(23.7%), '감축투자 인센티브 확대'(10.9%) 등이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감축기술 발전 없이 목표만 높게 잡으면 산업 생태계 뿐 아니라 일자리에도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며 "목표 수립 당시 계획한 온실가스 감축기술 발전 수준을 점검하고 체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녹영 대한
[한우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