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현대차·기아차] |
현대차·기아차는 3분기 경영실적 발표를 앞두고 3분기 실적에 반영될 품질비용(충당금) 발생과 관련해 사전에 투자자의 이해를 돕는 IR 행사를 19일 열었다.
이처럼 분기 실적 발표 전 간담회를 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이는 고객 및 시장의 우려에 대해 투명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현대차·기아차의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기아차는 지난 2018년 3분기 4600억(현대차 3000억원, 기아차 1600억원), 2019년 3분기 9200억(현대차 6100억원, 기아차 3100억원) 2차례 세타2 GDi 엔진 리콜 관련 충당금을 실적에 반영했다.
하지만 작년 충당금 반영 이후 엔진 교환 사례가 예상치보다 높은 추세가 지속됐고 평생보증 충당금 산정 때 반영한 차량 운행 기간에 대한 현실적 재산정이 필요해 추가 충당금 반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아울러 대상은 아니었지만 고객 불만 사례가 접수되고 있는 기타 엔진(세타2 MPI·HEV, 감마, 누우)에 대해서는 고객 품질 만족도 제고를 위해 선제적으로 KSDS(엔진 진동감지 시스템 소프트웨어) 장착 캠페인 시행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해 추가 충당금 설정을 진행한다.
이번 3분기 손익에 반영될 품질비용(충당금)은 현대차가 2조1300억원, 기아차가 1조2600억원에 달한다.
현대차·기아차 관계자는 "향후 유사한 품질비용 이슈가 재발되지 않도록 향후 철저한 품질
[최기성 기자 gistar@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