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10억 원 이상 아파트의 매매 비중이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9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4.6%에 달했던 매매 가격 10억 이상 아파트 비중이 올해는 22.8%(지난 14일 기준)로 감소했습니다.
직방은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 재건축 사업의 부진 등으로 강남·서초 지역의 거래량 감소가 영향을 준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최근 5년 동안 매년 서울 전체 거래량의 10% 수준을 유지하던 강남과 서초의 거래는 올해 7.3%로 감소했습니다.
반면 용산, 송파, 성동, 광진, 마포, 동작 등은 10억 원 이상 아파트 매매 비중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 중
직방은 "강력한 규제로 고가주택 거래 시장이 일부 위축됐지만, 해제되면 언제든 다시 시장을 불안정하게 끌고 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