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국 제약회사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항바이러스제 '렘데시비르'의 부작용으로 보고된 사례가 11건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렘데시비르가 코로나19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가 거의 없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16일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렘데시비르 부작용 보고 현황'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보고된 부작용은 총 11건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기능 수치 상승이 3건, 발진이 3건, 심실 주기외 수축, 두드러기가 각 2건, 그리고 구토가 1건이었다.
렘데시비르는 지난 6월 3일 특례수입이 승인되어 7월부터 국내에 공급됐고, 7월24일 정식 허가된 바 있다.
길리어드사이언스는 이달 초 코로나19 입원 환자 1062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한 결과 렘데시비르가 회복 기간을 5일 단축해줬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15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WHO가 여러 나라의 입원 환자 1만1266명을 상대로 진행하고 있는 실험에서 렘데시비르가 환자의 입원 기간을 줄이거나 사망률을 낮추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렘데시비르 외에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치료제인 로피나비르·리토나비르, 항바이러스제 인터페론 등도 시험 대상이지만 코로나19 입원 환자의 생존에 크게 영향을 주는 치료제는 없었다는 것이다.
의원실은 국내의 경우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렘데시비르를 사용한 경험이 제한적이고, 아직까지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중증도의 치료 효과에 대한 평가가 확실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춘숙 의원은 "코로나19의 치료제로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는 국내 약 600여명의 환자에게 투여된 상태이다.
[정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