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일 질병관리청은 경기 이천에 거주하는 70대 여성(추정환자, 10.8일)과 60대 여성(확진환자, 10.14일), 경기 시흥 거주 50대 남성(추정환자, 10.15일) 등 확진환자 1명과 추정환자 2명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환자들은 9월 발열 증상과 의식저하 등의 뇌염 증상으로 입원하여 치료를 받았으며, 그 중 2명은 증상 호전된 상태고 세 번째 환자는 역학조사 중이다. 세 사람은 모두 국내 여행력이나 거주지 인근 돈사 등 위험요인이 확인됐다.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모기로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매개모기는 일반적으로 4월 제주, 부산, 경남 등 남부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후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며, 7~9월에 매개모기 밀도가 높아지고 10월말까지 관찰된다. 지난 3월26일 제주, 전남지역에 첫 매개모기가 확인되어 주의보 발령된 적 있고, 7월 23일 부산지역에서 전체 모기 중 매개모기 밀도가 50% 이상으로 경보를 발령한 바 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모기에 물린 경우 대부분 무증상이나 250명 중 1명 정도에서 임상증상이 나타나며, 치명적인 급성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중 20~30%는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
질병청은 국가예방접종 지원 대상이 되는 연령의 모든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해달라고 권고했다. 성인의 경우, 논 또는 돼지 축사 인근 등 일본뇌염 매개모기 출현이 많은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및 일본뇌염 유행국가로 여행 계획이 있는 사람 중 과거 일본뇌염 예방접종 경험이 없는 성인은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일본뇌염을 전파하는 작은빨간집모기가 10월말까지 관찰되고 전체 환자의 90% 이상이 8월에서 11월에 발생하므로, 야외활동과 가정에서 모기예방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모기 예방수칙에 따르면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정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