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이 계속되면서 지난달에도 실업급여 지급액이 1조1천억 원을 훌쩍 넘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자를 기준으로 한 고용 지표는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경기 회복보다는 주로 정부 일자리 사업의 영향으로 분석됐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오늘(12일) 발표한 9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1천663억 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4천978억 원(74.5%) 급증했습니다.
구직급여는 정부가 실업자의 구직활동 지원을 위해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수당으로, 실업급여의 대부분을 차지해 통상 실업급여로 불립니다.
구직급여 지급액은 코로나19 사태의 고용 충격이 본격화한 올해 5월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어선 것을 시작으로 5개월째 1조 원을 웃돌고 있습니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9만9천 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만8천 명(39.4%) 증가했습니다. 8월 중순 시작된 코로나19 재확산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1천412만8천 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33만7천 명(2.4%) 증가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세를 이끈 것은 서비스업이었습니다. 지난달 서비스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974만5천 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37만4천 명(4.0%) 증가했습니다.
국내 산업의 중추인 제조업의 고용보험 가입자는 352만 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만1천 명(1.4%) 감소했습니다. 제조업의 가입자 감소 폭은 7월(6만5천 명) 이후 계속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고용보험 가입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
반면 29세 이하와 30대는 각각 2만2천 명, 5만 명 감소해 기업의 채용 중단에 따른 청년 취업난이 여전함을 보여줬습니다.
노동부가 이날 발표한 노동시장 동향에서는 전반적으로 코로나19 재확산의 여파가 뚜렷이 나타나지는 않았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