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노출 독감(인플루엔자) 백신 사태로 국가 무료 접종용 48만분량이 수거됐지만 이를 이미 접종한 사람이 55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이번 국가 접종 물량 유통업체 선정 과정에 입찰 담합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7일 전봉민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그같이 지적했다. 전 의원은 조달청 나라장터에 게재된 '올해 독감 백신 구매' 결과 자료를 통해 이번 국가 접종용 독감 백신 최저가를 제시한 1순위 1곳 외에 2순위 8개 업체의 입찰 금액이 1084억9205만7800원으로 원단위까지 모두 일치했다고 지적했다. 2순위 중엔 신성약품도 포함돼 있다.
전 의원은 "입찰 결과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불과 3일만인 9월 3일까지 독감백신 제조사 5곳 이상으로부터 공급확약서를 받아 제출할 것을 요청했고 1~2순위 9곳 중 유일하게 신성약품만 제조사 7곳으로부터 받은 확약서를 제출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말했다.
특히 사업자로 최종 선정된 신성약품의 계열사인 신성뉴팜도 이번 입찰해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성뉴팜은 신성약품과 같은 입찰 금액을 제출했고 같은 2순위로 선정됐다. 이에 대해 전 의원은 "2순위 8개 업체의 입찰 금액이 똑같은 건 납품 입찰 담합을 의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 의원 지적에 대후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국감장에서 "독감 백신 조달은 질병관리청이 직접 관여한 건 아니고 조달청을 통해 받고 있긴 하지만 조달·납품 과정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며 "정부도 면밀히 관찰하고 개입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국내 직장인들은 10명 중 4명은 자녀에게 무료 독감 백신을 접종시키지 않겠다고 답해 눈길을 끈다. 전 의원과 블라인드 애플리케이션(앱)이 지난 5~6일 직장인 5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독감 백신 접종 의향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중 본인이 독감 백신 접종을 완료했거나 접종할 의향이 있는 직장인은 응답자 중 73.3%에 달했다. 반면 접종을 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13.3%에 불과했다.
하지만 독감 백신에 대한 안정성 검사가 완료된 후에도 자녀들을 '접종시키지 않겠다' 는 응답 비율은 42.7%나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접종시키겠다'는 응답 비율은 43%로 자녀에 대한 접종 의향 입장과 팽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인 접종 의향이 73.3%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이
이번 독감 백신 상온 노출로 인한 무료 예방접종 중단 책임 소재는 해당 유통회사(신성약품)에 있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절반을 넘는 56%가 그같이 답했다. 다만 응답자 중 39.5%에 달하는 이들은 사업을 총괄하는 정부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응답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