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급여(실업급여)를 받는 청년이 지난해보다 2배 늘어났다. 청년층은 숙박·음식 업종처럼 대면 서비스에 종사하는 비중이 높아 코로나19의 타격이 더욱 심각했기 때문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2020년 8월 기준 20대 이하 구직급여 지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실업급여 전체 수혜자는 2019년 8월 대비 49% 증가한 가운데, 청년 수급자는 99.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청년의 실업급여 수급률은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준 지난 4월부터 급격히 늘어났다. 20대 이하 청년의 실업급여 수혜자는 지난 4월 48.3% 늘었고, 5월은 70.7%, 6월 90.2%, 7월 92.0%, 8월 99.9%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대 이하 수혜자가 급증한 원인은 청년층의 주된 노동시장이 대면 서비스 업종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장기화와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대면 서비스 업종의 어려움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숙박·음식 업종에서 20대 이하 청년 수급자가 전년 동월 대비 138.2% 증가했다. 여행사업 등 사업지원서비스업에서 112.5%, 마트 등 도·소매업도 102.2%로 두배 이상 수급자가 증가했다.
다른 연령대에선 30대의 경우 지난해 8월보다 39.5%, 40대는 44.9%, 50대 41.3%, 60대 이상은 44.6%로 실업급여 수혜자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장 의원은 "코로나 19가 모든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