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환자 발생 후 지금까지 간호사가 일주일에 3명꼴로 코로나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자를 돌보다가 코로나에 걸린 간호사들의 감염 경로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간호사들 불안이 커지고 있다.
4일 최연숙 국민의당 의원에 따르면 코로나 첫 환자가 발생 때부터 지난달 29일까지 9개월간 코로나에 감염된 의료인력은 총 159명이다. 이 가운데 간호사가 101명으로 가장 많아 일주일에 2.8명꼴로 감염된 셈이다. 뒤이어 간호조무사 33명, 의사 10명, 치과의사 1명, 기타(방사선사·물리치료사 등) 14명이다.
의료진이 감염된 경로를 보면 병원의 일반적인 진료 과정 중에 코로나 환자를 통해 직접 감염된 경우가 68명이었고 확진자 병동 근무 중 감염 17명, 선별진료소 근무 중 감염 4명이었다. 이와 함께 병원 내 방문자나 입원환자, 병원 직원 감염자 등을 통한 병원 내 집단 발병으로 감염된 경우도 70명으로 집계됐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코로나 환자가 급증하면서 간호사 감염은 더욱 크게 늘고 있다. 지난 7월 13일까지 의료인 감염(133명)에 비해 최근 두 달반 새 26명이 증가했다. 이들 중 간호사가 22명을 차지할 정도로 간호사 감염이 심각하다. 특히 확진자 병동에서 환자를 돌보다가 감염된 의료진은 대부분 간호사들로 지난 7월 13일까지는 10명이었다. 하지만 최근 두 달반 새 6명이 추가 확진됐다. 확진자를 치료하는 음압병동에서 일하는 간호사들이 코로나에 많이 노출되고 취약하다는 지적이다.
최 의원은 "보호 장비를 갖추고도 코로나 병동에서 감염자가 늘고 있어 간호사들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방역당국은 간호사들이 더 이상 감염되지 않도록 감염 경로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감염 원인이 보호 장비나 의료환경 문제인지, 개인 부주의인지를 분석해 보호 장비 개량이나 장시간 근무 금지 대책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대한간호협회는 간호사 업무가 다른 의료 직종에 비해 감염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훨씬 커 생기는 현상이라고 밝혔다. 간호사들은 보호 장비를 입고 오랜 시간 환자 곁에서 일하기 때문에 업무강도가 높고 과로에 지치기도 쉽다. 그런데도 하루 4시간씩 코로나 병동 근무를 요구하는 병원이 많다. 서울의 A병원 간호사는 "4시간가량 방호복을 입으면 두통이나 어지럼증에 시달린다"며 "화장실에 자주 갈 수도 없어 식사나 물먹기조차 꺼리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신경림 간호협회장은 "코로나 병동 간호사 수를 지금보다 대폭 늘려 하루 근무 시간을 1~2시간으로 줄이고 충분한 휴식 시간도 보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