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가 개설한 마이너스통장의 한도액이 2017년부터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5대 시중은행(국민·우리·신한·하나·농협) 마이너스통장 개설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대(20∼29세)와 30대(30∼39세)가 신규 개설한 마이너스 통장의 대출 한도 금액은 2017년 15조8천659억 원, 2018년 15조9천281억 원, 2019년 16조4천105억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올해는 7월까지만 벌써 14조2천11억 원에 이르렀습니다. 2017년 이래 3년 7개월 동안 20·30세대가 만든 마이너스통장의 한도액은 총 62조4천56억 원에 달했습니다.
20·30세대가 개설한 신규 마이너스통장은 2017년 34만6천768건, 2018년 33만877건, 2019년 34만332건이었으며, 올해도 7개월 만에 21만4천146건이 개설됐습니다.
2017년 이후 20·30세대가 만든 마이너스통장 계좌는 총 123만2천123건으로, 이 기간에 개설된 전체 마이너스통장(337만4천908건)의 36.5%에 달했습니다.
특히 20대가 만든 마이너스 통장은 2017년 6만6천936건, 2018년 6만9천234건이었다가 작년에 8만2천53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20대의 마이너스통장 대출 한도액도 2017년 2조2천572억 원, 2018년 2조3천784억 원에서 지난해 2조6천326억 원으로 확대했습니다. 30대뿐 아니라 20대까지 빚을 내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입니다.
20대의 마이너스통장 대출 연체 금액은 2017년 12억7천만 원, 2018년 14억7천300만 원, 2019년 16억8천900만 원으로 연
김상훈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 대출 규제와 집값 상승, 취업난 등으로 청년 세대가 내 집 마련을 위한 '영끌', 주식투자를 위한 '빚투'에 나설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경기 침체가 오래갈수록 자산과 소득이 상대적으로 적은 청년 세대는 빚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