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결혼과 출산이 늦어지면서 의학적으로 고령 산모로 분류되는 만 35세 이상의 산모가 늘고 있다. 그러나 나이는 출산의 중대 위험 요소가 아니기에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의료계에 따르면 박중신 서울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은 2016~2020년 출산한 산모 6378명을 분석한 결과 35세 이상의 비율은 51.6%였다. 40세 이상도 9.2%를 차지했다. 절반 이상이 의학적 기준으로는 고령산모인 셈이다.
의학계는 산모의 나이가 35세를 넘어면 만성 고혈압, 임신 중독증, 난산, 조산, 산후 출혈, 임신성 당뇨, 염색체 이상, 기형아 출산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이유로 고위험 임신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연구팀은 35세 이상이라는 요인은 출산 전후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약간 높을 뿐이지 모든 산모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실제 난산을 피하기 위한 제왕절개 수술의 시행 비율이 이번 연구 대상이 된 고령산모에서 49.8%로 집계돼 절반 이하였다.
고령 산모의 경우 산도가 유연하지 못해 난산을 겪거나 제왕절개 수술로 분만할 가능성이 있지만, 제왕절개 수술의 경우 나이보다는 고혈압, 당뇨병, 조기진통, 태반의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이 겹치기 때문에 필요해진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이 작년 발표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 조사'에서 제왕절개 분만률은 대도시 38.7%, 중소도시 44.7%, 농촌 46.9%로 집계됐다. 농촌 지역일수록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보건의료 서비스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져 출산 때 제왕절개 방법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이 같이 집계됐다고 보건사회연구원은 풀이했다.
박중신 교수 연구팀도 최근 산모들이 산전 진단에 적극적이고 태아의
박 교수는 "산모 자신을 잘 돌보는 것이 태아를 돌보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며 "조기 발견을 통한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정기적 산전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경우 기자 case10@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