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의 핵심 동력인 '정책형 뉴딜펀드'가 로봇과 신재생에너지 등 40개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공모펀드인 '뉴딜 인프라펀드'는 풍력단지 등 디지털·그린 뉴딜 인프라에 자금을 투입합니다.
정부는 오늘(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비상경제중대본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국민참여형 한국판 뉴딜펀드 후속조치 추진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앞서 정책형 뉴딜펀드와 뉴딜 인프라펀드를 내년 초에 조성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 투자 가이드라인과 뉴딜 인프라 범위 기준을 이날 제시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40개 분야를 정책형 뉴딜펀드 투자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디지털 뉴딜 분야에선 항공·우주와 차세대 진단, 스마트헬스케어 등 30개 분야를 투자 대상으로 정했습니다.
그린 뉴딜 분야에선 신재생에너지와 신제조공정, 차세대동력장치, 바이오소재 등 17개 분야를 제시했습니다.
로봇과 에너지효율향상, 스마트팜, 친환경소비재 등 7개 분야는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모두에서 투자 대상으로 선정했습니다.
투자 대상(기업과 프로젝트 등)이 투자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경우는 물론이고 관련된 전후방산업에도 투자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공모 펀드인 뉴딜 인프라 범위의 기준도 제시했습니다.
정부는 뉴딜 인프라를 디지털·그린 경제 구현을 위한 기
디지털 뉴딜은 5G망과 클라우드ㆍ데이터센터, 지능형교통시스템 등을, 그린 뉴딜은 그린 리모델링과 스마트 상하수도, 풍력발전 등 친환경 발전을 의미합니다.
경제활동 기반 시설은 도로, 철도, 항만, 하수도를, 사회서비스제공 시설은 유치원과 학교, 도서관을, 기타 공공시설은 공공청사 등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