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이마트는 올 추석 선물세트 사전예약 기간(8월13일~9월15일) 매출이 작년 대비 26% 신장했다고 밝혔다. 특히 20만원 이상 와인 선물세트 매출이 430% 늘어나는 등 프리미엄 선물세트 매출이 41.9% 신장하며 프리미엄 세트의 강세를 입증했다.
실제 코로나19 재확산 우려에 따라 귀성객 감소가 가시화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경부선 등 9개 노선 추석 승차권 예매량은 총 50만석 중 26만3000석으로, 작년(47만명) 대비 5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전판매 기간 이마트의 프리미엄 추석 선물세트 매출은 크게 늘어났다.
보르도 그랑크뤼, 미국 컬트 와인 등 20만원 이상의 프리미엄 와인 상품의 매출은 전년대비 430% 신장했다. 피코크한우갈비1++등급세트(35만원), 피코크 횡성축협 한우갈비세트(31만5000원)의 판매가 각각 113%, 129% 늘었다. 피코크 황제옥돔(25만원·527%), 피코크 황제갈치(25만원·179%)도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았다. 이외에 이마트가 프리미엄 상품으로 내놓은 '피코크 횡성축협한우 1++등급 구이 세트' (58만5000원), 피코크 황제굴비(52만2500원), 피코크 메로구이(22만5000원)도 인기다.
롯데마트도 추석 선물세트 사전 예약 매출이 작년 동기대비 40.5% 신장했다. 특히, 10만원 이상 프리미엄 선물세트 매출은 작년 대비 49.5% 증가했다. 롯데마트의 대표 프리미엄 상품인 지리산 1++ No.9 세트 1호(59만원), 지리산순우한 한우1++ No.9 세트 2호(39만원), 영광 굴비세트(39만 8000원)도 소비자들로 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현대백화점에서도 추석 선물세트 예약 판매를 통한 50만원 이상 한우 매출이 전년 대비 121.1% 늘었다. 30만원 이상 굴비선물 세트도 89.7% 증가했다.
현대백화점은 이와 함께 늘어난 1~2인 가구를 겨냥해 소포장한 실속형 선물세트를 강화했다. 대표 상품이 10년 만에 다시 등장한 9만원짜리 '냉장' 한우 선물세트다. 한우를 450g씩 포장해 총 3~4kg으로 구성한 기존의 20만~40만원대 한우 선물세트와 다르게, 200g씩 소분해 총 0.8kg으로 구성한 실속 한우 선물세트다
명절때 주로 먹거리나 생필품 위주의 저가 선물만 팔렸던 편의점에서도 올해는 100만원대 프리미엄 고가 가전 판매가 이어지고 있다. CU가 올해 추석선물로 내놓은 149만원짜리 삼성 냉장고와 131만원인 삼성UHD TV는 각각 2개, 4개씩 팔렸고, 128만원에 선보인 코지마 안마의자도 벌써 3개가 나갔다. 이 편의점이 개당 가격이 100만원을 넘는 고가 가전을 명절 선물로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대형 가전의 판매 호조 덕택에 지금까지 CU의 추석 선물 중 디지털가전 매출은 작년보다 355%나 늘었다.
'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에 따른 농축수산 선물 상한액을 일시적으로 기존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면서 유통업계도 10만~20만원대 상품군 강화에 나섰다.
롯데마트는 10만원 이상의 프리미엄 선물세트를 지난 해에 비해 약 25% 가량 늘렸다. 대표 상품으로 '황금당도 나주하우스 배, 충주 사과, 한우 한끼 구이세트 등이 있다.
이마트는 피크코 제주 흑한우 2호(16만8000원) 물량을 지난해 대비 70% 가량 늘렸으며, 피코크 한우갈비 세트 2호(21만5000원)는 지난 해 대비 물량
[김기정 기자 /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