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광복절 집회를 전후해 재확산되면서 이달 들어 서울지역 외식업 카드매출이 작년대비 42%나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7조8000억원에 이르는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통해 긴급 지원에 나섰지만 감염증 사태 진정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완화조치 없이는 민생경제 추락을 막기엔 역부족으로 보인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5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를 주재하고 "8월 셋째주를 기점으로 외식분야 매출액 회복세가 다시 하락하고 있다"며 "위기는 강도보다 지속성이 민생을 더 고단하며 아직 끝을 모른다는 점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은 민생에 최악의 위기"라고 지적했다.
![]() |
↑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이 9월 11일 서울 광화문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5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겸 정책점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김차관은 "관광소비도 다시 하락하고 외식업체가 밀집한 수도권, 광역시 피해는 더욱 심각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외식 시장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지원 대책도 확대·보완해 나가겠다"며 "생존의 위협에 처한 국민들을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도 실물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기재부는 "일부 내수지표의 개선세가 다소 주춤한 가운데 수출·생산의 부진 완화 흐름이 이어졌으나 코로나19 재확산과 거리두기 강화 영향으로 실물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기재부는 지난 6월 "실물경제 하방 위험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으나, 수출·생산 하락세가 이어지자 7월과 8월에 "실물 경제 불확실성"을 언급했고 9월에는 "실물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봤다.
![]() |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 조치로 지난 3월부터 두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는 국산 승용
[이지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