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그랜저 HG [사진 출처 = 현대차] |
이유가 있다. 환경보호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처음엔 전기차를 고려했지만 주행거리가 긴 자신에게는 맞지 않았다. 대안으로 디젤 차량보다 초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적은 LPG 차량을 골랐다.
김진호 씨는 2016년 9월부터 2020년 5월까지 45개월 동안 차계부를 작성했다. 이 기간 동안 14만3000km를 주행하면서 1만6788ℓ를 충전했다. 연료비는 1406만3214원으로 집계됐다.
그랜저 HG LPG 표시 연비는 7.6km/ℓ이지만 김씨가 실제로 주행한 연비는 8.6km/ℓ로 13% 이상 좋았다.
그가 밝힌 연비운전 비결은 순정 부품 사용, 계절에 맞은 차량 온도 관리, 연비 부품 제때 교환, 여유 있는 운전 4가지다.
그는 신차 출고 당시의 메커니즘과 제작자의 의도를 알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신차는 최적의 상태로 출고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임의로 개조하거나 비순정 부품을 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지적한다.
![]() |
↑ LPG 충전소 [사진 출처 = 매경DB] |
그는 계절에 따라 주차 장소도 달리해 연료 낭비를 줄였다. 연비는 계절을 탄다. 차계부에 따르면 연비가 봄에는 8.98km/ℓ, 가을에는 8.62km/ℓ, 여름에는 8.62km/ℓ, 겨울에는 8.48 km/ℓ로 나왔다.
그는 날씨가 추우면 엔진의 연료 소모가 늘어나기 점을 감안, 가능한 야외 주차를 피하고 지하 주차장을 이용했다.
김진호 씨는 연비 부품을 제때 교환하면 연료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해를 거듭할수록 연비는 조금씩 낮아진다. 차량 문제가 아니라 연비 관련 주요 소모성 부품의 교환 시기를 놓치거나 정비를 소홀히 해서다.
그는 정기적으로 차량을 점검하면서 제작사가 권장하는 순정 부품으로 차량 상태를 유지했다.
김진호 씨는 마지막으로 경제 운전은 안전 운전이며 행복 운전이라고 강조한다. 정체가 자주 발생하고 높고 낮은 도로 도로가 많은 국내에서는 과속, 급제동, 급가속은 목적지까지 도착하는 시간을 기대만큼 줄여주지 못한다. 오히려 교통 흐름에 따라 안전하게 주행하는 게 시간과 비용을 줄여준다.
임기상 자동차시민연합 대표는 "김진호 씨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차계
[최기성 기자 gistar@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