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CU 즉석조리식품. [사진 제공 = BGF] |
7일 CU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격상된 최근 일주일(8월 30일~9월 5일)간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2시까지 심야 시간대 닭꼬치 등 즉석조리식품 매출은 전월대비 37.2% 증가했다.
방역 당국이 서울 및 수도권 편의점에서 오후 9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 점내외 취식을 금지한 가운데 심야에 주점과 음식점 등이 문을 닫자 편의점에서 먹거리를 구매해 집에서 먹는 수요가 부쩍 늘어났기 때문으로 회사 측은 분석했다.
간단한 야식 메뉴들의 인기도 높았다. 조리면(파스타·콩국수·볶음면 등) 36.9%, 냉장간편식(피자·떡볶이·수제비 등) 29.6%, 죽·스프류 28.2%, 냉동만두 26.9% 등 식사류보다 가볍게 먹을 수 있는 즉석식들이 평소보다 더 많이 팔렸다.
과자류에서는 팝콘이 24.9%로 가장 높은 신장률을 보였고 이어 쿠키류(19.1%), 일반스낵(16.6%), 젤리류(10.9%) 순이었다. 외출을 자제하고 극장 대신 넷플릭스 등 OTT와 VOD를 시청하는 사람들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심야에 수요가 급증하는 주류는 양주 22.2%, 소주 14.9%, 와인 14.2%, 맥주 9.5%의 순으로 높은 매출신장률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동반구매율이 높은 냉장안주 29.0%, 육가공류 21.7%, 마른안주류 19.7% 매출도 상승했다.
반면 심야 유동인구가 줄어들며 평소보다 매출이 감소한 상품들도 있다.
상대적으로 점내 취식의 비중이 높았던 컵라면은 11.7% 매출이 감소했고 꼬마김치도 덩달아 5.6% 줄었다. 음주 후 주로 마시는 숙취해소음료도 37.7% 매출이 떨어졌으며 아이스크림도 21.4%의 감소폭을 보였다.
정승욱 BGF리테일 정승욱 기획팀장은 "강화된 방역 수칙에 따라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신미진 기자 mjshin@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