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상시 동작형 유해가스 센서의 구조 및 제작 결과. <사진제공=KAIST> |
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윤준보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나노 소재 '나노린'을 통해 상시 동작이 가능한 초저전력 유해가스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린은 완벽하게 정렬된 나노와이어 다발들이 공중에 떠 있는 구조를 지칭하는 용어다.
윤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유해가스 감지 센서는 초저전력 기술로로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다. 심지어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기기에 붙일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됐다. 소형화가 쉽고 저렴해 많이 사용되던 금속산화물 기반 센서는 다량의 열을 방출하고 소비 전력이 많아 휴대용 기기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윤 교수 연구팀은 독자적인 나노 공정 기술을 통해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나노 소재는 미래 센서 기술의 핵심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원하는 위치에 정렬된 형태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제조 방법상 크기 제어도 쉽지 않다. 윤 교수 연구팀은 나노린을 통해 이같은 한계를 극복했다. 나노린은 기존 나노 소재 제작 방법과는 다르게 일반적인 반도체 공정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이 덕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산업적 활용 가치 또한 매우 높다. 연구팀은 나노린을 초저전력 나노 히터에 활용해 나노 소재의 열 고립 효과로 기존 마이크로히터의 한계를 뛰어넘는 초저전력 고온 구동에 성공했다. 또 나노 히터에 완벽하게 정렬된 형태의 금속산화물 나노와이어를 일체형으로 집적해 가스 센서로 응용했다. 이를 통해 윤 교수 연구팀은 스마트폰 내장에 적합한 수준의 낮은 소비 전력으로 일산화탄소 가스 검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윤 교수는 "상시 동작형 가스 센서는 언제 어디서나 유해가스의 위험을 알려주는 '스마트폰 속 카나리아'로 활용이 기대된다"고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카나리아는 과거 광부들이 유해가스로부터 생명
[이종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