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자궁을 이루고 있는 근육에 생기는 '양성종양'이다. 가임기 여성 또는 30~40대 젊은 여성에서 주로 발병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2019년 자궁근종 환자는 42만여명으로 최근 5년간 약 40.3% 증가했다. 자궁근종이 생기는 원인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성 호르몬의 작용 이상 등이 발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을 치료하는 방법은 크게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환자 입장에서 약물치료는 부담이 적지만 수술은 큰 결심이 필요하다.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산부인과 황종하 교수는 "수술적 치료의 절대적 기준은 없지만 의사가 환자에게 수술을 권할 때는 △증상 △종양 크기·위치·숫자 △자라는 속도·나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자궁근종 증상= 자궁근종 환자의 50%는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흔한 증상으로는 생리통, 생리과다, 불규칙한 생리 기간, 만성골반통, 질출혈 등이 있다. 특히 생리통은 증상이 생기기 시작하면 폐경이 될 때까지 점점 심해지는 것이 보통이며, 저절로 호전되기는 어렵다. 자궁근종으로 생리통이 심한 사람들은 진통제를 복용하며 응급실에 가기도 한다. 이럴 때 수술을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애매하게 아픈 경우가 있다. 통증에 대한 반응은 주관적이다. 국제성모병원 산부인과 황종하 교수는 "아픈 것을 잘 참는 사람도 있고, 민감한 사람도 있다"면서 "의학적인 관점에서 '일상생활에 불편감을 초래하는 정도'라면 수술을 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흔한 증상 중 하나는 생리과다다. 생리양이 너무 많으면 빈혈이 발생하며 심하면 쇼크가 오기도 한다. 따라서 자궁근종 환자들은 빈혈검사를 통해 빈혈이 있으면 수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궁근종 크기·위치·숫자= '자궁에 혹이 있다'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하는 것은 크기다. 그러나 1cm라도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5~6cm 이상에서 경과 관찰만 하는 경우가 있다. 즉 개인 차이가 있다. 몇 cm 이상이면 수술을 한다는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혹의 크기가 5cm 이상이면 수술이 필요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수술 결정에 있어 크기보다 중요한 요소는 '위치'다. 자궁근종은 위치에 따라 장막하, 점막하, 근층내 자궁근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좋지 않은 것은 점막하 자궁근종이다. 점막하 자궁근종은 혹이 자궁 안쪽으로 돌출돼 있는 것을 말한다. 내부로 돌출된 혹은 자궁 내부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어 크기가 작더라도 문제가 된다. 크기가 작아도 문제가 될 확률이 높은 것은 점막하 자궁근종이다.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은 숫자다. 같은 크기의 혹이 1개 있는 것보다 2개 있으면 좋지 않다. 만약 혹이 여러 개일 경우, 혹만 절제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자궁적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혹이 자궁 전체에 산재해 있을 경우 추후 재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혹이 여러 개 있어도 크기가 작고, 위치가 좋다면 수술없이 추적관찰만 하는 경우도 있다.
◇자라는 속도, 나이= 추적관찰 중 1cm였던 혹이 갑자기 6cm가 될 정도로 빠르게 자라는 경우가 있다. 증상이 없더라도 자라는 속도가 빠르면 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폐경이 되면 혹은 더 이상 자라나지 않는다. 그래서 증상이 심하지 않은 갱년기 여성은 폐경이 될 때가지 기다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자궁근종은 발생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커져 40대 중후반 이후 가장 커진다. 하지만 폐경이 되면 괜찮다는 말을 듣고 증상이 있어도 참고 지내는 여성들이 있다. 폐경은 2~3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증상이 호전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증상이 심한 환자는 무작정 기다리는 것보다 전문의를 찾아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국제성모병원 산부인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