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울산 석유화학공단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
30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내수 기준 석유 제품별 소비량은 총 7310만1000배럴로 작년 7월 7893만2000배럴 대비 7.4% 급락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1∼7월까지 누적 소비량(7억1703만4000배럴)이 작년보다 평균 3.6% 줄었는데 7월 한 달만 보면 감소폭이 2배 이상 큰 것이다.
제품별로는 지난달 휘발유(7% 증가)를 제외한 대다수 석유제품의 소비량이 작년보다 감소했다.
항공유의 소비량이 작년 동월 대비 36.9% 감소했고, 선박 연료 등으로 쓰이는 벙커C유도 작년보다 8.1% 줄었다. 경유와 LPG 역시 작년보다 각각 4.6%, 1.6% 감소했다.
코로나19의 재확산세로 이달 수요 증가도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해외 항공 수요가 여전히 저조한 데다 역대 최장의 장마와 코로나로 휴가철인 '드라이빙 시즌' 특수가 기대 이하이기 때문이다.
최근 원유 정제마진(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을 뺀 것)이 마이너스에서 벗어나 2주 연속 플러스(+)로 전환했지만, 정유사의 실적 개선을 기대하긴 역부족이다.
업계가 수익을 내려면 정제마진이 배럴당 4달러는 돼야 하는데 지난주 싱가포르 크랭킹 기준 정제마진은 0.6달러에 그쳤다. 휘발유 외에 경유나 등유, 항공유 등의 정제마진은 여전히 마이너스다.
SK이노베이션·GS칼텍스·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 등 정유 4사가 지난 상반기에 낸 적자 규모는 5조1000억원에 달한다.
정유업계의 한 관계자는 "최근 정제마진 상승은 미국에 불어닥친 쌍둥이 허리케인 여파로 멕시코만의 원유 생산시설 다수가 셧다운(폐쇄)되면서 공급 위축에 대한 우려로 유가가 상승한 때문"이라며 "근본적으로 석유수요가 늘지 않은 상황에서 나타난 일시적 현상이어서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3분기에도 흑자 전환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여름 특수가 예년만 못한 가운데 이달 말부터 코로나 재확산으로 거리두기가 사실상 2.5단계로 강화됐기 때문이다. 이달초부터 항공유 가격은 두바이 원유보다 낮은 역전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유동성 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석유협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정유 4사가 발행한 회사채 규모는 3조4000억원으로, 작년 한 해 발행 총액의 90%에 달한다. 이렇게 조달한 자금의 72%는 부채 상환과 세금 납부 등에 쓰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유 4사는 특히 지난달 말에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유예받은 4월분 유류세 등 1조4000억원과 1조원이 넘는 6월분 유류세까지 두달 치를 한꺼번에 납부하면서 부담이 커졌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항공사들은 오히려 여객기를 화물기로 전환해 흑자를 내는 등 돌파구를 찾았지만 정유사들은 그러한 유연한 사업 전환도 힘든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지원책으로는 미국·일본·중국처럼 중유(석유 중
이와 관련해 미래통합당 추경호 의원은 최근 생산공정용 석유류(중유)에 개별소비세를 조건부 면세하는 내용의 개별소비세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디지털뉴스국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