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다시금 확산하면서 지방 곳곳에 위치한 주요 공기업들이 초긴장 상태에 들어갔다.
상당수 지방 소재 공기업들이 서울·수도권 지역에 대한 '출장 자제령'을 내린 가운데, 주말에 수도권 자택에 귀가하는 것도 막아서는 강도 높은 자체 '스탠드 스틸(이동 제한)' 조치를 내린 기관도 등장했다.
21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남 나주에 본사를 둔 한국전력은 전국 지사에 서울·수도권 출장을 8월 말까지 자제하라는 지침을 내려보냈다. 주요 경영현안을 제외한 수도권 지역 내 회의도 최소화하고, 다른 지역 직원들의 참석 역시 제한했다. 부득이하게 수도권·본사에서 대면회의를 열어야 하는 경우 3일 전에 계획서를 제출하고, 보건안전부서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산업부는 이날 화상회의를 통해 산하 40개 공공기관의 코로나19 대응 태세를 점검했다.
한전은 신입사원 교육이나 워크숍 등 많은 직원들이 한 곳에 모이는 주요 일정도 연기했다. 올해 상반기 신입사원 연수는 비대면 화상교육으로 돌렸다. 당초 22일로 예정됐던 고졸 채용형 인턴 필기시험은 9월말로 잠정 연기했다. 수도권 지역의 재택근무는 지난주 대비 2배 이상으로 확대했다. 사태가 더욱 악화할 경우 수도권 출장 이동을 통제하고, 주말 통근버스 지원도 중단할 방침이다.
경주에 위치한 한국수력원자력은 직원들의 개인모임과 단체 회식을 이달 말까지 중단하도록 했다. 수도권은 물론 부산·울산 지역 원전 시설 근무 직원들의 재택 근무도 시행 중이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지난 19일부터 기관장인 임춘택 원장을 포함해 전 직원이 일주일 간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한국서부발전은 본사 사옥 폐쇄라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별도의 필수인력이 근무할 수 있는 '클린 존'을 만들었다. 유사시 사옥을 폐쇄하더라도 주요 업무를 이어갈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해 둔 것이다.
울산에 위치한 한국석유공사는 안전관리자와 필수 근무인력을 제외한 모든 직원의 서울·수도권 이동을 전면 금지했다. 출장은 물론 수도권에 자택을 둔 직원들의 귀경까지 막는 고강도 이동 제한 조치다. 해외 근무자의 국내 입국도 가급적 자제하도록 했다.
산업부 산하기관 외에도 대전에 본사를 둔 한국수자원공사는 서울·수도권 직원과 지방 직원들의 교류 자제령을 내렸다. 강제 사항은 아니지만 지역 간의 접점을 최소화해 코로나19 확산 가능성을 최대한 낮추겠다는 것이다. 수공은 직원들의 단체 회식도 금지한 상태다. 대전에 위치해 서울을 지척에 두고 있는 한국철도공사도 수도권 출장
공기업 중에는 신입사원 교육은 물론, 공채 시험을 연기한 곳도 있다. 코로나19로 자칫 '셧 다운(가동 중지)' 사태가 벌어질 경우 이들 공기업이 책임지던 국가 주요 공공서비스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어 한껏 조심하는 분위기다.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