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아산병원 신·췌장이식외과 신성 교수팀이 6,000번째 환자에게 신장이식 수술을 하고 있다. |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신장이식팀(한덕종, 김영훈, 신성, 권현욱 교수)은 지난 7월 중순 말기 신부전을 앓고 있던 38세 남성에게 뇌사자 신장을 이식하는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국내 최초 신장이식 수술 6,000례를 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아산병원이 연간 시행한 신장이식건수도 점차 늘어 2019년에는 처음으로 연 400례를 돌파해 국내 신장이식 5건중 1건을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원인 질환별 신장이식 환자 추이 |
서울아산병원 신장이식팀은 신장이식 수술을 처음 시행한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환자 6,000명에게 이식한 신장(이식신)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98.5%(1년), 90%(5년), 77.1%(10년)로 미국의 장기이식관리센터(United Network for Organ Sharing, UNOS)가 발표한 이식신 생존율 99.9%(1년), 85.4%(5년)와 대등한 수준이라고 밝혔다.이식신 생존율이란 이식 후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해 다시 투석받거나 재이식이 필요하지 않은 환자 비율을 뜻한다. 서울아산병원은 거부반응 발생 가능성이 높아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환자를 제외하지 않았음에도 우수한 생존율을 기록해 높은 안전성과 성공률을 증명했다.
이는 서울아산병원이 국내에서 가장 많은 신장이식을 시행하며 쌓아온 노하우에 더해 수술 전후로 예상되는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이식외과, 신장내과, 감염내과, 진단검사의학과 등 다양한 진료과의 전문 의료진이 협진하여 환자를 관리하는 다학제 시스템을 구축한 결과로 분석됐다. 기증자와 수혜자 간 조직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는 교차반응 검사결과가 양성이거나 기증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부적합할 경우, 이식된 장기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거부반응 위험이 커 흔히 신장이식 수술의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서울아산병원은 2009년 첫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을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총 728건을 시행했다. 2019년에 실시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은 98건으로, 작년 한해 동안 시행된 생체신장이식 수술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혈액형 부적합 이식신의 1년, 5년 생존율은 97.4%, 92.3%로 적합 이식신 생존율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었다.
교차반응 양성인 신장이식 수술은 2009년 이후 213건이 시행돼 생체 신장이식의 7.5%를 차지했으며 기증자 신장에서 문제가 되는 항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탈감작 치료 후 이식해 1년, 5년 이식신 생존율이 97.1%, 93.7%로 적합 신장이식과 대등한 생존율을 기록했다. 신장이식을 받은 6000명의 환자 중 수술 관련 합병증으로 신장 기능이 소실된 비율은 1% 미만이었다. 또한 서울아산병원 신장이식팀은 신장이식을 받은 6000명의 원인 질환에 대해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 3,260명 중 당뇨·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원인이 되어 신장이식을 받은 비율이 41%인 것으로 밝혔다. 1990년부터 2000년간의 원인 질환과 비교하면 당뇨와 고혈압 등 만성질환으로 신장이식을 받은 비율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신장이식을 받은 6,000명 환자를 인구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평균 나이는 44.1세로 남성이 58.7%, 여성이 41.3%였다. 환자의 생존율은 97.5%(1년), 95.4%(5년), 92.1%(10년)로, 전체 신장이식 기증자의 비율은 생체 이식이 77%, 뇌사자 이식이 23%이다.
한덕종 서울아산병원 신·췌장이식외과 교수는 "6000건의 신장이식을 하며 쌓아온 노하우로 과거에는 수술이 어려웠던 환자들에게도 확대해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면서 "생존율 또한 적합 신장이식과 비슷한 수준인데, 이는 다양한 진료과의 전문 의료진이 함께 협진하여 노력한 결과"라고 말했다. 김영훈 서울아산병원 신·췌장이식외과 교수는 "당뇨나 고혈압 등으로 신장이 망가져 신장이식을 받는 환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며 "물론 만성질환을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말기신부전으로 투석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되도록 빨리 신장이식을 받는 것이 환자 생존율이나 이식신 생존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서울아산병원 신장이식팀은 신장·췌장 동시이식(1992년), 신장·간
한편 신성 서울아산병원 신·췌장이식외과 교수의 집도로 신장이식 수술을 받은 6000번째 환자 박모 씨는 빠르게 회복하여 수술 일주일 후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