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신규실업자가 60만 명을 넘어서며 같은 달 기준 10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구직활동에 나섰는데도 일자리를 얻지 못한 신규실업자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16일 통계청의 구직기간별 실업자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구직기간이 3개월 미만인 이른바 '신규 실업자'는 1년 전보다 7만3천명 늘어난 60만6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2010년(66만1천명) 이후 10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입니다.
지난달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4만1천명 늘어난 113만8천명으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21년 만에 최악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이에 대해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달 실업자 규모 자체가 7월 기준 1999년 이후 가장 많았는데, 실업 기간이 1개월 정도인 실업자들이 많이 들어온 거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코로나19 발생 직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람들이 구직활동을 못 하면서 2~4월에 실업자가 감소했었는데 '생활속 거리두기' 전환 이후 이분들이 적극적인 구직활동에 나서면서 5월부터 7월까지 실업자가 늘어난 측면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달 신규실업자가 늘어난 것과 대조적으로 구직기간이 6개월 이상인 이른바 '장기 실업자'는 1년 전보다 3만명 줄어든 11만2천명을 기록했습니다.
7월 기준 2014년(7만9천명) 이후 6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가 1년 전보다 50만2천명 늘면서 1999년 이후 최대치인 1천655만1천명을 기록한 가운데 장기 실업자들이 고용시장 문이 좁아지자 구직활동을 아예 중단하며 비경제활동인구로 주저앉은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옵니다.
지난달 실업자 수 급증은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음식·숙박업을 비롯한 서비스업종이 위태
지난달 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2만5천명 줄어들어 통계 분류를 개정한 2013년 이후 최대 감소폭을 나타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자영업 비중이 높은 제조업(-5만3천명)과 도·소매업(-12만7천명)도 취업자 수가 크게 줄었고, 교육서비스업(-8만9천명)도 타격이 컸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