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낙후된 중소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보급중인 스마트공장을 모델화해 국제표준화 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독일과 미국 처럼 스마트공장의 우리만의 스마트공장 표준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 시장에서 산업경쟁력 강화를 도모하는 한편, 국제표준 선점으로 인한 세계시장에서의 우월적 지위를 차지하고자 하는 시도다.
13일 중소벤처기업부는 현재 양적 확산위주로 추진되고 있는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고도화하고 한국산업표준(KS)과 국제표준을 도입할 만한 과제를 발굴해 향후 국내 중소기업들에 보급될 스마트공장 모델을 국제표준으로 인정받기 위한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용역의 주된 내용은 스마트공장 표준 확산을 위한 제도개선점을 발굴하는 것이다. 중기부는 "현재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이 양적 확대에 치중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엑셀을 설치해주는 초급 수준의 스마트화에서 더 나아가 생산성을 대폭 상향시킬 수 있는 스마트화가 되어야 하고, 이를 국제표준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보급된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등급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예를들어 마스크를 생산하는 중소기업이 스마트화되는 경우 공정 개선을 통해 동선을 얼마나 줄였는지, 자동화된 장비가 얼마나 투입되어 비용 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 성과평가 시스템은 얼마나 합리적으로 작동하는지 등의 기준을 마련해 스마트화 된 정도를 등급화 한다는 이야기다.
특히 스마트공장으로의 변모를 이끄는 공급기업과 이를 필요로하는 수요기업의 등급별 매칭을 위해서 각각 기준에 맞는 등급제가 필요하다는 게 중기부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등급제도를 평가할 심사원을 양성하는 방안도 이번 연구용역에 담길 전망이다. 또 기업의 실제 수요를 반영해 스마트공장에 있어서 한국산업표준(KS)과 국제표준 도입과제도 발굴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이같은 표준화 작업이 미국과 독일 등 생산현장 스마트화에서 우리 보다 앞선 선진국들의 표준 선점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앞서 올 6월 중소기업의 제조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스마트공장
[최희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