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은 배달앱 수수료 때문에 남는게 없는데 또 배달앱을 포기하자니 매출 자체가 안 나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버티려면 결국 제품 가격을 인상할 수 밖에 없어 소비자 피해로 이어지는 겁니다.
서영수 기자가 사연을 들어봤습니다.
【 기자 】
배달전문 음식점을 운영하는 이은표 씨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3개 배달앱을 이용 중입니다.
8천 원짜리 볶음밥 1개를 팔면 배달대행료와 배달앱 수수료로 3천 원 넘게 나갑니다.
원가인 재료비까지 빼면 3천 원도 안남는데 이걸로 임대료와 인건비까지 감당해야 합니다.
배달앱을 쓰기 전과 비교하면 이윤이 절반 이하로 떨어지다 보니 직원도 줄이고 혼자 하루 16시간씩 일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이은표 / 배달음식점 대표
- "(원래) 직원을 두고 장사를 했는데 남는 게 없어요. 왜 그러냐, 배달비가 나가다 보니 남는 게 없는 거죠."
하지만 갈수록 많은 소비자들이 배달앱을 통해 주문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로 이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인터뷰 : 배달앱 이용 식당 대표
- "얄미워도 써야 하는 거죠. 특히 코로나 뜨고 나서 당연히 손님들은 많이 쓰고…."
업계 1,2위 배달의민족과 요기요의 합병이 성사되면 사실상 독점 체제여서 제품 가격을 올리지 않고는 버티기 어려울 거라는 우려마저 나옵니다.
▶ 인터뷰 : 이은표 / 배달음식점 대표
- "합병이 끝나면 추가적으로 압박을 할 거라는 말이에요. 그러다 보면 가격은 당연히 올라가게 돼있죠."
3조 원 규모로 급성장한 배달 시장이 과도한 수수료와 불공정한 약관 등의 논란이 끊이지 않는 만큼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MBN뉴스 서영수입니다.
영상취재 : 김진성 기자
영상편집 : 오혜진
#MBN #배달앱 #자영업자 #배달의민족 #요기요 #MBN종합뉴스 #서영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