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업계 노조들이 매년 임금인상 복지확대 등을 주장하며 파업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현장 노동자들은 일한만큼 보상받는 '성과급'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장 노동자들은 또 어려운 업계 사정을 감안해 최저임금 동결 또는 삭감이 필요하다는 의견에도 상당수 동의하는 등 노조 집행부와 다른 시각을 내비쳤다. 이 때문에 정부와 노조가 현장 근로자의 목소리에 좀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동차산업연합회는 28일 제4차 산업 발전포럼 겸 제9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에서 '생산력 확충 및 생산성 제고방안 마련 과제'를 주제로 완성차·부품업체 130개와 차업계 관계자 63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공개했다. 이번 설문에는 경영진(6.5%)과 일반관리직(52.3%), 생산기술직(20.1%), 판매영업직(10.9%), 연구직(10.2%) 등 다양한 직군 종사자들이 참여했다.
생산기술직은 '근로자의 주요 동기부여 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차별화된 성과급(32.4%)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근소한 차이긴 하지만 고용안정(31.9%)이나 복리후생(22.5%)보다 성과급을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시시하는 바가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설문 참여자들은 '적절한 임단협 주기'와 '내년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서도 강성일 것이라는 기존 통념과는 다른 결과가 나왔다. 현행 노동조합법상 단체협약의 유효기간이 2년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주요 완성차·부품업체 노사는 매년 임금협상 교섭을 실시하고, 격년마다 단체협약 교섭에 돌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생산기술직 사이에서 협상 주기를 1년으로 줄여야 한다는 의견은 22.2%에 불과했고, 나머지 77.8%는 협상 주기를 2년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2021년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서도 삭감 혹은 동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37.7%에 달했다.
'투쟁'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는 자동차산업 현장 근로자들의 성향은 지난해부터 지속된 르노삼성자동차 파업 사태 때도 드러난 바 있다. 강경 노선을 걷고 있는 르노삼성 노조 집행부가 전면파업을 선언했지만 다음 근무일에 조합원의 66% 이상이 정상 출근했다. 당시 집행부는 내부 반발로 파업 동력을 상실하자 8일만에 전면 파업을 철회하고 임단협 테이블로 나왔다.
자금난과 판매부진으로 벼랑 끝에 내몰린 쌍용차는 지난해 노조가 앞장서 상여금을 반납하고 복지혜택을 축소하는 등 자구책을 내놨다. 지난 4월에는 자동차 업계 최초로 2020년 임단협을 타결하고 임금을 동결해 11년 연속 무분규의 전통을 이어나갔다. 정일권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를 통해 "회사가 없다면 우리 일자리도 없다는 마음으로 경영진과 함께 뛰고 있다"고 전했다.
현장 근로자들의 인식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투쟁 노선을 고수하는 노조 집행부로 인해서 한국 자동차산업의 노동생산성은 뒤쳐지고 있다. 한국생산성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1~2018년 한국 자동차산업 노동생산성은 OECD 25개국 가운데 10위로, 1위인 독일의 52.4% 수준에 불과하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설문조사 결과) 생산직 근로자
[박윤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