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운영 서울시보라매병원 신경과 권형민 교수가 뇌졸중 진단 환자를 대상으로 사후관리용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을 적용해 유의미한 효과를 거두었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권형민 교수 연구팀은 보라매병원에서 뇌졸중을 진단받은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12주동안 사후관리용 모바일 어플을 이용하도록 한 후, 총 3번에 걸친 검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서 모바일 헬스케어 시스템 이용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뇌졸중 인식수준과 우울증, 혈압 지표 개선에 있어 유의한 효과를 거뒀다고 28일 밝혔다.
연구진은 환자들에게 하루 두번 혈압수치를 측정해 입력하고, 스마트 밴드를 활용해 신체 활동량을 꾸준히 기록하도록 권고했으며, 뇌졸중 교육과 의약 정보, 운동 가이드 등 어플 내 뇌졸중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했다. 그 결과 뇌졸중 인식 점수는 연구 이전 평균 59.6점에서 4주 후 67.6점, 12주 후에는 74.7점으로까지 점진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우울증 평가 척도인 BDI 점수도 초기 12.7점에서 12주 후 10.7점으로 2점 가량의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특히 전체 환자 중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고혈압이 진단된 26명은 12주 간의 모바일 어플 이용 후 평균 수축기 혈압 -13.92mmHg, 이완기 혈압 -6.19mmHg의 혈압감소가 확인됐으며, 처방약을 제때에 올바르게 복용하는 것을 뜻하는 약물 순응도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교신저자인 권형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대면 모바일 기술을 활용한 증상관리가 뇌졸중 환자의 질병 이해도 뿐만 아니라, 뇌졸중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고혈압 증상 완화 및 질병으로 인한 우울감 개선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언택트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만큼, 낮은 비용으로
이번 연구결과는 해외 유명 학술지인 '의학 인터넷 연구저널(JMIR :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최근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