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고객만족 조사'가 부정행위 발생을 막기 위해 올해 조사부터 전면 개편된다. 성과급을 많이 타려는 의도로 고객만족도 조사에 끼어들어 결과를 조작했던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태'의 재발 방지책 성격이다.
기획재정부는 안일환 기재부 2차관 주재로 지난 16일 열린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 '2020년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공공기관에서 현장 조사 시기를 쉽게 예측할 수 없도록 현장조사 기간을 1~2개월 더 확대한다. 현재 2개월간 실시하던 조사를 3~4개월간 실시한다. 또 부정행위 개연성이 높은 현장조사 비중을 축소하고 전화조사 비중을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사전 유출 및 조작을 막기위해 정부는 현재 공공기관과 조사 업체가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도 바꾼다. 기본설계자가 공공기관으로부터 위탁을 받아 조사업
이 같은 내용은 올해 전체 340개 공공기관 중 조사 대상인 322곳에 적용된다. 안 차관은 "고객 만족도 조사 조작은 제도의 근간을 뒤흔드는 중대한 부정행위"라고 밝혔다.
[양연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