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1일 "한국판 뉴딜이 계속 진화해 나갈 중심에 지역이 있다"며 "정부는 지역주도형 뉴딜을 추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추진 기구로 대통령과 시도지사가 함께 하는 '한국판 뉴딜 연석회의'를 가동하기로 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한국판뉴딜의 핵심 투자처가 지역"이라며 "정부는 사업성과 일자리 창출력이 높은 지역 뉴딜 사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 등 지역별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추진해온 정부가 이번엔 전북형 뉴딜, 경남형 뉴딜 등과 같은 지역별 뉴딜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한국판뉴딜은 정부가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을 쏟아붓는 매머드급 프로젝트로 문재인 정부 후반기 최우선 사업이다. 문 대통령은 "한국판뉴딜은 수도권 중심에서 지역중심으로 국가발전의 축을 이동시키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지역경제 회복의 발판이 되고, 중장기적으로 국가균형발전을 한차원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데이터댐, 인공지능(AI)정부 등 한국판뉴딜의 10개 간판사업을 발표한바 있다. 문 대통령은 "간판이 되는 대표 사업들 상당수가 지역 변화의 상징이 될 것"이라며 그린스마트스쿨, 스마트그린산단, 그린에너지 사업 등이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가 직접 투입하는 114조원의 재정 대부분이 지역에 투자된다"며 "전북형 뉴딜, 경남형 뉴딜과 같이 지역 별로 좋은 모범 사례들이 많이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역뉴딜이 현재 전국에 분포한 혁신도시와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판뉴딜은 지역 발전의 속도를 더욱 가속화하면서 균형발전의 완성도를 높여줄 것"이라며 "혁신도시는 균형발전 뉴딜을 거점으로 다시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형 뉴딜의 '속도전'을 위해 전국 시도지사가 참여하는 추진기구도 출범한다.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의 성공을 위해 지자체와 소통을 강화하고 중앙과 지방 간에 강력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겠다"며 "대통령과 시도지사가 함께하는 한국판 뉴딜 연석회의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자체가 한국판 뉴딜을 지역에서 구현하고 창의적인 지역 뉴딜을 만들어내는 주역"이라며 "지자체가 지역 뉴딜의 성공사례를 만들어낸다면 전국 규모의 뉴딜 사업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국무회의에선 다음달 1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관공서의 임시공휴일 지정안'을 확정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 장기화로 지친 국민들에게 휴식시간을 드리고자 한다"며 "모두의 안전을 위해 불편을 감수하며 묵묵히 이겨내고 있는 국민들께 작은 위로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임시공휴일이 지정되더라도 편히 쉴 수 없는 분들이 많다"며 "방역 현장을 지켜야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