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과의 M&A '데드라인'으로 정한 오는 15일이 다가오면서 이스타항공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앞서 제주항공은 이달 15일까지 선행조건을 해결하라고 이스타항공에 요구했다. 이에 따라 이스타항공은 선행조건인 각종 미지급금 규모를 낮추기 위해 국토부, 항공기 리스사 등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이스타항공의 미지급금은 1700억원 규모로, 체불 임금 250억원을 포함해 항공기 리스료, 유류비, 공항시설이용료 등이 포함돼 있다.
이스타항공은 공항시설이용료 감면을 국토부에 요청하고, 리승사에도 항공기 운항을 못한 기간 등을 반영해 리스 비용을 줄여줄 것을 거듭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항공기 운항을 중단했지만 18대에 대한 리스료가 매달 약 60억원씩 쌓이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 3월부터 전 노선 운항을 중단하고 임직원 급여도 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한 책임 소재를 두고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측이 통화 녹음파일과 관련 서류 등을 잇따라 공개하는 등 '폭로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스타항공은 임금 체불 문제를 자체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직원들에게 임금 반납 동의도 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의원 측이 보유한 이스타항공 지분도 회사에 헌납했다. 헌납 규모가 150억~200억원 수준인 만큼 체불임금 일부를 이스타항공이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제주항공과의 M&A가 무산될 경우 이스타항공이 결국 파산할 수 있기 때문에 직원들에게 재차 고통 분담을 요구하는 상황"이라며 "직원들 역시 고용승계가 약속될 경우 일정부분 체불임금을 회사에 반납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최근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을 각각 만나 M&A 성사를 당부했다. 고용부 역시 이스타항공 경영진과 근로자 대표, 조종사노조 등과 잇따라 면담하며 체불임금에 대한 각 측의 입장을 확인했다. 이후 제주항공을 만나 협조를 구할 계획이다.
만약 양사의 M&A가 무산될 경우 이스타항공 파산 가능성이 높아져 1600명의 대규모 실직자가 발생할 수 있다. 계약 파기에 대한 책임 소재를 두고 법정 공방에 들어갈 수도 있다.
다만 제주항공의 2대 주주인 제주도(지분율 7.75%) 측이 사
제주항공은 "오는 15일까지 선행조건을 완료하지 못하면 인수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배윤경 기자 bykj@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