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제공 = 닐슨코리아] |
닐슨코리아는 9일 코로나19가 국내 소비자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뉴 노말 샤퍼 분석'을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을 주요 구매 채널로 꼽은 응답은 38%를 기록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슈퍼마켓(25%), 편의점(11%), 대형마트(7%) 순이다.
반면 코로나19 유행 전에는 슈퍼마켓과 온라인이 주요 구매 채널 응답률 각각 29%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대형마트는 7%, 편의점은 5%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과 편의점의 주요 구매 채널 응답 증가율은 모두 5%를 웃돌았다.
특히 온라인 채널 이용자 10명 중 3명 이상(31%)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신규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쇼핑 시 온라인 채널만 이용하는 경우는 7%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약 92%는 온?오프라인을 함께 이용한다고 답했다.
코로나19 이후 증가한 온라인 쇼핑 경험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약 70%가 온라인 쇼핑 경험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해 오프라인(59%)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을 정기적 쇼핑 채널로 이용한다는 응답이 오프라인보다 많았다.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식품 중 코로나19로 판매량이 증가한 품목 상위 5개는 포장김치(24%), 냉면(20%), 즉석 죽(16%), 카레(16%), 레토르트 식품(14%)으로 간단한 조리 뒤 바로 먹을 수 있는 RTE(Ready to Eat) 제품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위생 카테고리 내 판매액이 늘어난 품목 상위 5개는 다목적 클리너(18%), 키친타월(13%), 두루마리 휴지(7%), 주방용 세제(6%), 변기 세정제(2%) 순으로 집계됐다.
닐슨코리아 관계자는 "전 세
[신미진 기자 mjshin@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