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금융거래 수준이 90년대 중반 우간다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각에서는 민간 '돈주'를 중심으로 금융업이 발달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아직 북한 금융은 갈 길이 먼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은행은 탈북자 212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을 종합한 결과, 2012년에서 2018년 사이 탈북자들이 가구당 평균 1761달러의 금융자산과 408달러의 금융부채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
↑ 지난달, 오두산 전망대에서 저멀리 북녘땅이 보이고있다. [이충우 기자] |
북한에서 신용거래가 이뤄지는 주된 방법은 개인 간 신용거래였다. 주로 장마당에서 물건을 사고 팔 때 외상을 하는 방식이었으며, 별도의 이자율을 정하지 않고 3일 이상 이용하면 물건가격을 10%가량 더 받는 식으로 이뤄졌다. 이주영 연구위원은 "지인들 간에 무담보로 신용거래를 하다보니 집계된 이자율은 평균 월 13.1%에 달해 매우 높았다"고 밝혔다. 돈을 빌린 대상별로 분석하면, 친구나 친척에게 돈을 빌린 경우가 32.5%, 유통상인에게 빌린 경우가 31.2%, 대부업자에게 빌린 경우가 10.4%로 나타났다. 차입용도는 유통업 관련 사업자금(61%)이 가장 많았고, 일반소비자금이 14.3%, 식량조달 9.1%, 생산자금 7.8% 등으로 조사됐다.
![]() |
↑ 2018년 7월 평양 고려호텔 앞으로 평양 주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사진 출처 = 사진공동취재단, 매경DB] |
가계 보유 자산과 부채를 분석한 결과, 자산은 주로 현금(1310달러)으로 보유했으며 이 외에는 상거래 신용(389달러), 곡물고리대 같은 금전대차(54달러), 계(8달러) 등으로 구성됐다. 부채는 상거래 신용이 321달러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컸으며, 금전대차가 79달러, 계가 8달러로 집계됐다.
이번 보고서는 탈북자 212명을 북중접경지역 출신 107명, 내륙 시지역 65명, 내륙 군지역 40명으로 나눠 각각 인구비중을 반영해 북한 전지역의 금융수준
[송민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