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3%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은행은 오늘(25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보고서에서 "환율과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 등의 상방 요인이 있지만, 정부의 복지정책 기조와 유가 하락, 경기 둔화 영향으로 물가 하방 압력이 커질 것"이라며 이처럼 전망했습니다.
내년에는 국제유가 하락 영향이 사라지고 경기 개선, 복지정책 영향 축소 등이 더해져 올해보다 높은 1.1%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달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내놓은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와 일치합니다.
작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였습니다.
식료품·에너지 물가를 뺀 근원물가 상승률은 올해와 내년 각 0.4%, 0.9% 수준으로 추산됐습니다.
한은은 더 긴 시계에서도 저(低)인플레이션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
↑ 한국은행 물가 전망 / 사진=한국은행 제공 |
우선 코로나19 확산과 경제 위기 이후 민간이 예비적 저축을 늘리고, 부채 상환을 위해 소비·투자를 억제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비대면 온라인 거래를 통한 비용 절감, 재택근무와 자동·무인화 투자 확대에 따른 기업 생산성 향상 등도 물가 하락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코로나19 대책으로서 세계 주요국이 확장적 통화·재정 정책을 펼쳐 글로벌 유동성이 급격히 늘어나고, 글로벌 공급망 약화로 생산비용이 상승한 점 등은 인플레이션 상승 요인이지만 정도가 강하지 않을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한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