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대병원 운영 서울시 보라매병원 정형외과 이승준 교수가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
보라매병원 공동 연구팀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고관절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치매 발생 비율을 조사한 전향적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메타분석(동일하거나 유사한 주제로 연구된 연구결과들을 계량적으로 종합해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연구 결론을 이끌어내는 연구방법)을 실시해 고관절 수술 후 섬망 증세에 따른 치매 발생 위험성을 연구했다. 최종적으로 6건의 연구에 참여한 844명의 임상 지표가 분석에 활용됐으며 분석 결과 수술 후 섬망 증세가 나타날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무려 9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Odds ratio: 8.957).
연구팀은 844명 중 265명에서 섬망이 진단되었으며, 그 중 101명은 수술 후 평균 6개월의 추적기간 내에 이전에 없었던 치매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어 수술 후 섬망 증세가 치매 발생의 유의한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승준 교수는 "낙상과 골다공증으로 인한 고관절 골절 및 퇴행성 질환은 고관절 수술에 있어서 주요한 부분을 차지한다"며 "이러한 고관절 골절과 퇴행성 질환은 고령 환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수술 후 섬망 증세가 나타날 경우 치매가 발생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상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 섬망은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며 "노년층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노인학 및 노인병학(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2020년 3~4월호에 게재됐다.
[이병문 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