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골이 깊어지면서 임금을 동결하거나 삭감해 고통을 분담하자는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임금의 변화는 퇴직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이에 대한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윤영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기업들이 고통분담 차원으로 앞다퉈 임금을 동결하거나 줄이면서 퇴직금에까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3천6백만 원인 근로자가 매년 7.5%씩 임금이 오르면 10년 뒤 퇴직금으로 5천7백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3년간 임금이 동결되면 퇴직금은 4천6백만 원으로 20% 줄어들게 됩니다.
연평균 10% 정도 임금이 오르는 대기업 근로자들은 퇴직금의 25%인 1천7백만 원 정도를 손해 볼 것으로 추정됩니다.
문제는 불황이 장기화 돼 동결 기간이 길어지면 퇴직금의 감소 폭이 더 커질 거라는 데 있습니다.
이에 따라 퇴직금 관리도 전략을 세워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존 퇴직금 제도나 퇴직금이 확정된 DB형 퇴직급여 상품은 안정적이긴 하지만 임금 변화에 따른 퇴직금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경기가 불황일수록 다양한 상품에 투자한 수익을 퇴직금으로 받는 확정기여형인 DC형 퇴직연금이 유리하다고 조언합니다.
실제로 연봉이 3천6백만 원인 근로자가 임금이 동결된 채 3년간 받는 퇴직금은 9백만 원인데 반해, 정기예금과 채권형 펀드에 투자하면 9% 정도를 더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확정기여형인 DC형 상품은 운용결과에 따라 퇴직금 원금에 대한 손실의 위험도 있기 때문에, 각 상품의 특성을 잘 살피고 본인의 재무상태도 고려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mbn뉴스 윤영탁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