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치료제는 올해, 백신은 내년 하반기에 출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8일 정부는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 지원단 제2차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보고된 국내 코로나19 치료제 백신·개발 현황에 따르면 치료제 분야에서는 기존에 허가된 약물의 적응증(치료범위)을 확대하는 '약물재창출' 연구로 7종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그 중 일부는 빠르면 올해 말에 출시가 가능할 전망이다.
백신 분야에서는 후보물질 3종이 올해 중으로 임상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백신은 2021년 하반기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범정부 지원단은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도 마련했다.
혈장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이 다량 필요하지만, 채혈 행위는 의료기관만 가능하고 대한적십자사는 의료기관이 아니어서 연구용 혈장 채혈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현재 상황이 의료법 제33조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공익상 필요하다고 요청하는 경우'에 부합한다고 판단하고, 의료기관이 아닌 대한적십자사에서도 채혈 행위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 혈장 채혈 장비가 부족한 의료기관에는 성분채혈기 임대를 통해 혈장 채혈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범정부 지원단은 민간기업의 치료제·백신 개발 촉진을 위해 생물안전시설이 민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코로나19 치료제·백신 후보물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생물안전3등급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는 홈페이지에 BL3 운영기관 목록을 게시하고, 이용 수요를 검토한 후 해당 시설 운영기관과의 연계를 지원할 방침이다.
[정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