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전남지역에서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됐다. 26일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4일 해당 모기가 채집돼 그같이 발령한다고 밝혔다.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 모기다. 주로 논이나 동물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질본은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을 통해 해당 모기가 처음 채집됐을 때 주의보를 발령하는데 올해 주의보 발령은 작년보다 2주 정도 이르다. 이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채집된 남부지역(제주·부산·전남)의 1~2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2.3~2.6도 더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질본에 따르면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이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에선 치명적인 급성뇌염이 진행될 수 있다. 이가운데 20~30%는 사망에도 이를 수 있어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과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국가예방접종 사업 대상인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표준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성인 중에서도 면역력이 없고 모기 노출에 따른 감염 위험이 높은 대상자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받는 게 좋다.
정은경 질본 본부장은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활동이 시작된 만큼 야외 활동이나 가정에서 모기 회피·방제요령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질본에 따르면 해당 모기에 물리지 않으려면 야외 활동 시 밝은 색의 긴 바지와 긴 소매의 옷을 입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모기가 흡혈하지 못하게 품이 넓은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를 사용하고 야외 활동 시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은 자제해야 한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