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오늘(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앞서 S&P는 이달 5일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1%로 하향 조정한 바 있는데, 한 달도 지나지 않아 전망치를 대폭 낮춘 것입니다.
S&P는 이날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은 올해 GDP 성장률이 약 -0.6%로 역성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0.4%, 올해 말 예상 기준금리를 연 0.50%로 제시했습니다.
앞서 영국 경제분석 기관인 캐피털이코노믹스도 아시아 주요국 성장률 전망치를 수정하면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제시해 역성장을 전망한 바 있습니다.
S&P는 다른 아태지역 국가들에 대해서도 "올해 중국의 GDP 성장률은 2.9%로 둔화할 것으로 추정되고 홍콩(-1.7%), 일본(-1.2%), 싱가포르(-0.8%)는 역성장이 예상된다"며 "아태지역 평균 성장률은 2.7%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으로 아태지역 정부, 은행, 기업, 가계가 부담해야 할 경제적 손실이 현재 약 6천200억달러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S&P는 지난 18일 보고서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아태지역 경기 침체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이에 따른 각국의 성장률 전망 조정치를 이날 발표한 것입니다.
숀 로치 S&P 이코노미스트는 당시 보고서에서 "코로나19의 글로벌 확산 여파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 글로벌 경제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며 "아태지역을 찾는 미국과 유럽 관광객이 최소 두 분기 동안 급감할 것으로 예상돼 관광 산업도 큰 타격을 받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불확실성 확대로 미국
아울러 "기업들의 재무지표 악화와 고용시장 불안정으로 인해 아태지역은 침체가 길게 이어지는 'U'자형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