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공항 빠져나가는 응급차량 [사진 = 연합뉴스] |
4일 정부가 임시국무회의에 제출한 '코로나19 파급영향 최소화와 조기 극복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에는 이 같은 내용의 감염병 대응 및 피해자 지원 대책이 담겼다. 투입되는 금액은 총 2조3000억원이다.
![]() |
↑ 차량 길게 늘어선 염주체육관 선별진료소 [사진 = 연합뉴스] |
음압구급차는 292억원을 들여 146대를 추가로 일선 보건소에 배치한다. 현재 배치된 음압구급차 46대를 감안하면 총 192대가 된다. 일반 구급차 13대도 추가 지원한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2차관은 "음암구급차 보급은 시급한 사안"이라며 "추경 통과되면 상반기에 바로 투입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에 설치된 음압병실의 경우 현재 161개를 281개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300억원을 투입한다.
인수공통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센터를 확장해 '바이러스 전문연구소'도 세운다. 이는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변종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것이다.
질병관리본부 기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원심분리기와 디옥시리보핵산(DNA) 서열분석기 등 각종 바이러스 검사 장비를 확충하는데 98억원을 편성했다.
자금난을 겪는 의료기관에 대한 금융지원은 우선 기금 변경으로 1000억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경이 통과되면 4000억원을 추가 공급할 수 있을 전망이다.
격리치료자를 위한 생활비 지원과 기업에 대한 유급휴가비 지원도 이뤄진다.
생활지원비는 직장 유무와 가구원 수, 격리 기간 등을 참작해 결정한다.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비는 예비비로 1600억원을 지원하고 추경 통과 시 800억원을 추가 반영한다.
시급한 사안은 국회 통과까지 시일이 걸리는 추경에 담기 보다는 예비비를 우선 쓰기로 했다.
![]() |
↑ 아침 번호표 오후 마스크 구입 [사진 = 연합뉴스] |
기재부 관계자는 "대구의 경우 의원급까지 모든 의료기관에 마스크를 지원하고 다른 지역은 병원급까지 보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