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전국 민영 아파트 신규 분양물량이 정부 규제 등으로 인해 올해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청약열기는 여전히 뜨겁지만 분양가 상한제 시행과 정부의 12·16대책 등 초강력 규제,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며 건설사나 개발회사들이 신규 사업 추진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서입니다.
대형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오늘(26일) "분양가 상한제 등 정부 규제가 본격적으로 작동할 내년 분양시장은 최근 그 어느 해보다 불확실성이 크고 어려움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택시장 분위기를 봐가며 선별 분양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 내년 민영 32만가구 분양…서울 4만6천가구, 경기 9만5천가구
연합뉴스가 부동산114와 공동으로 12월 한달 간 내년도 민간 건설업계의 분양계획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329개 단지에서 총 32만5천여가구(정비사업 조합원분 포함)의 아파트가 분양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아직 사업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일부 건설사와 사업일정이 미확정된 단지들을 제외하고 보수적으로 잡은 수치로, 작년 같은 시기 조사한 올해 분양계획 물량 38만6천741가구에 비해 6만여가구(15.7%) 줄어든 겁니다.
올해 분양시장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나 지자체의 분양가 규제로 '로또 아파트'가 늘면서 일부 수도권 공공택지나 서울 재건축·재개발 사업 단지는 청약률이 급등하고, 청약가점 만점 단지가 속출하는 등 과열을 빚었습니다.
9억원 초과 대출 금지로 현금 부자들이 미분양을 독식한다는 의미의 '줍줍(줍고 줍는다)'이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HUG와 지자체의 분양가 규제가 더욱 거세지고 분양가 상한제까지 본격 시행되면서 과천, 여의도 등 당초 올해 예정했던 사업장의 분양일정이 내년으로 다수 이월됐습니다.
이로 인해 올해 계획 물량중 실제로 분양된 물량은 26만4천여가구로 계획대비 70%선에 그쳤습니다.
내년 분양물량은 수도권이 18만4천253가구, 지방이 14만1천626가구로 수도권 비중이 큽니다.
이 가운데 경기도 물량이 9만5천171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많고, 서울이 4만5천944가구로 뒤를 잇습니다.
지방에서는 대구에서 3만가구가 공급되고 부산 2만4천800가구, 충남 1만7천283가구, 경남 1만2천505가구, 광주 1만1천963가구, 대전 1만1천580가구 등의 순입니다.
◇ 재건축·재개발 47% '역대 최대'…대우건설 3만4천여가구 1위
유형별로는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물량이 15만1천840가구로 전체의 47%에 달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정비사업 물량(9만7천984가구)에 비해서도 5만가구 이상 많은 것으로, 2000년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비율입니다.
내년에 강남권에서 재건축 초과이익환수, 분양가 상한제 등 규제를 피해간 막바지 물량이 쏟아지면서 공급 물량이 늘어난 겁니다.
서울의 경우 내년 4월29일 분양가 상한제 유예기간 종료를 앞두고 강동구 둔촌 주공(1만2천32가구),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6천642가구) 등 강남권 재건축 단지와 동작구 흑석3구역(1천772가구), 은평구 수색6(1천223가구)·수색7(672가구)·증산2구역(1천386가구), 성북구 장위4구역(2천840가구) 등 강북 재개발 단지에서 대규모 물량이 쏟아집니다.
경기도는 광명·수원·성남 등지에서 재개발 사업 물량이, 지방에서는 부산·울산·광주광역시 등에서 재건축·재개발 아파트 분양이 이어집니다.
과거 '뉴스테이'로 불리던 민간임대 아파트는 정부의 공공성 강화 방침에 따라 공급이 대폭 축소됐습니다.
2016년 2만8천47가구에 달했던 민간임대가 올해 8천296가구에 이어 내년에는 3천561가구로 급감합니다.
월별로는 내년 초 설연휴와 2월1일 청약시스템 개편 영향으로 3월부터 분양이 본격화될 전망입니다.
5월이 3만9천860가구로 가장
건설업계는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강남권 재건축이나 마포·용산·성동구 등 인기지역의 재개발 등 정비사업이 위축되면서 2021년 이후부터는 서울지역의 신규 아파트 공급도 축소될 것으로 우려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