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연발형 식모기 작동 원리 |
19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경북대학교 모발이식센터와 오대금속과 함께 수술시간을 30~50% 이상 단축시킬 수 있는 연발형 식모기(植毛機·모발이식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모발이식은 식모기를 이용해 뒷머리에서 채취한 모낭을 탈모 부위에 삽입하는 수술법이 쓰인다. 이식 속도가 빠르고 모낭 손상이 적은 데다 모발 생착률이 높아 국내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에 쓰이던 단발형 식모기는 모낭을 식모기에 장착한 후 두피에 삽입해 다시 식모기에 모낭을 장착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남성형 탈모 환자 수술의 경우 1회당 2000~3000여개 모낭 삽입이 이뤄지다보니 수천 회 식모기 교체 동작이 필요했고, 이는 환자가 견뎌야 하는 수술시간 증가, 시술자의 근골격계 질환 등을 초래한다는 문제로 이어졌다.
이번에 개발된 연발형 모발이식기는 이 같은 단점을 상당 부분 개선했다. 모발이식기에 바늘 10개가 장착돼 한 모낭을 이식할 때마다 마치 리볼버 권총처럼 카트리지가 자동 회전한다. 지연 없이 바로 다음 이식이 가능해진 것이다. 기존 수동식 모발이식기를 쓰되 모터 등 별도 전기장치 없이도 바늘을 공급해줘 의사들이 새 기기에 적응하기 편하다는 것도 강점이다.
![]() |
↑ ETRI 연구진이 자동형 식모기를 인조두피 위에 시연하고 있는 모습. 왼쪽부터 최은창 책임연구원, 오대금속 김병술 상무, 김규형 실장. [사진 제공 = ETRI] |
연구진 측은 식모기 장비 비용을 낮추고 식모 과정을 모두 자동화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시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