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이 10일 로봇을 이용한 자궁근종절제 및 재건술 1000례 달성 기념식을 병원 2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하고 기념사진을 찍었다. 왼쪽 세 번째부터 이해진 마취통증의학과장, 이지열 로봇수술센터장, 이남 행정부원장 신부, 김용식 병원장, 김미란 교수, 민창기 진료부원장, 김정수 갑상선암센터장, ... |
지난 2009년 4월 첫 케이스를 시작으로 10년 동안에 이뤄낸 성과다. 환자 1000명에게서 총 4493개 자궁근종을 절제했으며 1000명 환자 모두의 자궁을 재건해 가임력을 보존했다. 1000명의 환자들 중에서 로봇수술 도중 개복수술로 전환된 경우는 단 1건도 없었다. 이는 수술 전 환자의 철저한 평가와 탁월한 팀워크, 첨단 의료기술의 조화로 이뤄낸 결과라 할 수 있다.
자궁근종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종양이며, 난임 원인이 될 수 있다. 2017년 김미란 교수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국내 자궁근종 유병률이 약 4배 증가했으며, 특히 20대 후반부터 30대 초반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초혼 연령과 첫 출산 연령대가 올라간 것과 함께 OECD 최하위의 출산율이 자궁근종 발생율 증가에 한몫을 한 것으로 분석했다.
자궁근종 제거시 수술 방법은 근종 크기, 개수 및 위치에 따라 개복수술, 복강경 수술, 로봇 수술 중에서 결정하게 된다. 미혼 여성이나 임신을 원하는 여성일 경우 근종 제거 후 가임 능력을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자궁을 정교하게 재건하기 위한 섬세한 술기가 요구된다.
김미란 교수는 많은 근종을 제거하면서도 수술 후 유착을 최소화함으로서 자궁과 난소 기능을 지키는 데에 국내에서 독보적인 술기를 자랑한다. 근종 개수가 많고 크기나 위치가 복강경으로 수술하기 어려워 개복수술이 필요한 케이스까지도 로봇 수술을 적용해 환자들의 가임력을 보존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혈관평활근종이라는 혈관 내 근육인 평활근에 생기는 희귀한 자궁근종 환자의 첫 로봇수술 치료 사례로 학술지에 보고하기도 했다. 이 환자는 근종 제거 후 자연 임신으로 건강한 아이를 낳을 수 있었다.
김 교수는 2010년부터 국내 대학병원 최초로 환자 맞춤형 자궁근종 센터를 개소해 현재까지 센터장을 맡아왔다. 또한 지난 2월에는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자궁근종연구회에서 '자궁근종' 전문 학술도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최근 산부인과로봇학회(SKRGS)에서 신임 회장으로 취임, 국내 자궁근종 치료와 연구를 최선봉에서 이끌고 있다.
김 교수는 "자궁근종 발병은 여러 연구에서 분만력과 반비례 관계에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저출산 시대에 가임기 여성의 자궁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이어 "미혼여성이나 출산을 원하는 기혼여성에게 발생한 중증의 자궁근종은 매우 심각한데, 로봇수술의 섬세하고 정밀한 기술은 수술 중 자궁손상을 최소화하여 가임력을 보존하는데 매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고, 퇴원 후 일상으로의 복귀를 빠르게 한다. 로봇수술 후 임신을 원하는 부부들에게
병원은 10일 오전 7시 30분 21층 대회의실에서 주요 보직자와 의료진, 교직원 등이 참석해 로롯 자궁근종절제 및 재건술 1000례 돌파를 축하하는 자리를 마련하여 이번 업적을 기념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