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장암 조직 슬라이드를 스캔하는 모습. [사진 제공 = 서울대병원] |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병리과 강경훈·배정모 교수와 유승연 전공의로 구성된 연구팀은 2005-2012년 채취한 환자 578명의 대장암 조직 슬라이드를 디지털화해 AI로 분석한 결과 고가의 대장암 병기 진단 방법과 큰 차이가 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학부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유승연 서울대병원 전공의가 AI기업의 도움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해 이번 진단 방법을 개발하는 데 힘을 보탰다.
연구팀은 대장암 조직의 슬라이드를 스캔해 디지털 이미지로 만든 뒤 종양 조직 내 면역세포의 침윤·섬유화 정도를 208종의 파라미터로 측정하는 AI 프로그램을 제작해 환자들을 다섯 가지의 대장암 유형으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이 다섯 가지 유형은 고가의 CMS 분석법의 종양 유형과 1:1 대응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CMS 기법은 환자의 대장암 조직에서 RNA를 추출한 뒤 마이크로어레이 또는 RNA 시퀀싱으로 유전자 발현 양상을 파악한다. 그러나 워낙 고가의 진단법이기에 실제 환자의 적용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보통 암 환자의 치료 계획은 종양 크기 및 임파선·원격 전이 여부를 기반한 TNM 병기를 기준으로 수립한다. 이른 병기로 진단된 환자는 수술 후 추적관찰하고 진행된 병기는 수술 후 항암치료를 추가한다. 많이 진행된 상태로 수술 효과가 없다고 판단되면 항암치료 위주로 진행한다. TNM 병기가 환자의 예후, 즉 5년 생존율을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장암은 TNM으로 예후가 명확히 예측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2기로 판정된 환자가 3기보다 더 나쁜 경과를 보일 때도 있을 정도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이 CMS였다.
배정모 교수는 "새로 개발한 분류법으로 CMS와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는 것은 조직병리 이미지에 대한 AI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