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지영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총괄이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된 `구글 클라우드 서밋`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 제공 = 구글] |
구글은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된 구글 클라우드 서밋 미디어 브리핑에서 보스턴컨설팅그룹(BCG)와 함께 수행한 '클라우드 도입 : 아태지역 6개국의 도약'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2019년에서 2023년까지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은 한국 경제에 약 450억 달러(54조원)를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에 일자리는 1만5000개가 직접 창출되고, 간접적으로는 3만5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으로 봤다.
퍼블릭 클라우드는 아마존웹서비스·구글·마이크로소프트 등 외부 전문 업체가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운영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말한다. 특정 기업이 자체 구축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국내에서는 디지털 전문 기업·게임·유통 등 부문이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을 주도하고, 금융기관·대기업·공공부문도 참여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현재 15억 달러(1조7365억원)에서 5년 후 31억 달러(3조5888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구글은 전망했다.
오는 2023년까지의 한국 경제 기여 효과는 약 450억 달러(약 54조원)라고 예측된다. 연간으로 환산할 경우 한국 GDP의 0.6% 규모였다. 이는 자동차 제조업이 GDP 경제효과의 약 20% 수준이다.
보고서는 퍼블릭 클라우드에 대한 지출 증가율이 연 25% 수준을 유지한다는 전제 아래 한국·호주·인도·인도네시아·일본·싱가포르 등 아태 지역 6개국에서 향후 5년간 4천500억 달러(525조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추산했다. 아태 지역 6개국에서 직접 창출되는 일자리는 42만5000개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한편 구글은 더 나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20년인 내년 초 서울에 신규 GCP(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리전(region)을 개소할 예정이다. 구글은 내년부터 리전을 기반으로 국내 클라우드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지영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 총괄은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와 첨단 IT 기술 도입이 적극적인 한국은 구글 클라우드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시장"이라며 "구글 클라우드 코리아팀은 한국 기업의 디지털 혁신에 기여할 때 가장 보람을 느낀다
그는 이어 "내년 초 서울 클라우드 리전이 개설을 앞두고 한국 고객의 비즈니스 혁신을 적극 지원할 뿐 아니라 한국 경제 성장에 더욱 큰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다각적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구글 클라우드를 통해 더 빨리 디지털 혁신을 추진할 수 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홍성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