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 제공: 한국은행] |
한국은행은 26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참고 자료를 통해 지방 가계부채 상황을 점검한 결과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다.
지방 가계부채는 최근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나 그동안 수도권 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이면서 소득 대비 부채 비율도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계대출 중 지방 비중은 2012년 말 39.4%에서 올해 2분기 말 43.5%로 상승했다. 또한 지방 차주의 연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은 올해 2분기 말 207.7%로 수도권의 232.4% 대비 낮은 수준이나, 2012년 말 이후 상승폭은 55.5%포인트로 수도권의 40.1%포인트를 웃돌았다.
지방 가계부채의 차주 특성 및 부채 분포를 보면 고소득(상위 30%)·고신용(1~3등급) 비중은 올해 2분기 말 각각 61.7%, 69.7%로 수도권의 67.3%, 77.4%에 비해 낮고 상대적으로 이자율인 높은 상호금융, 여전사, 보험사, 저축은행 등 비은행 비중(54.1%)은 수도권 32.6%에 비해 높았다.
대출종류별로는 수도권과 비슷하게 담보대출이 74% 수준을 나타냈다. 다만, 지방은 특성상 농지, 임야 등을 담보로 한 대출이 많아 주택 이외 담보 비중은 올해 2분기 말 23.3%로 수도권(16.3%) 보다 높았다.
![]() |
↑ [자료 제공: 한국은행] |
주택담보대출 LTV 평균 비율은 수도권의 경우 2017년 이후 규제 강화 및 주택가격 상승으로 하락했으나 주택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지방은 55~56% 수준을 유지하면서 수도권과의 격차가 확대됐다.
지방의 가계대출 DSR 평균 비율은 올해 2분기 말 37.1%로 수도권(36.3%)을 소폭 웃돌았다. 또 지방의 원리금 상환액이 연간 처분가능소득을 웃도는 DSR 100% 초과 대출 비중(32.6%)도 수도권 27.3%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취약자주의 DSR 상승폭도 지방의 경우 9.0%포인트(2012년 말 58.3%→67.3%)로 나타나 수도권의 2.2%포인트(65.5%→67.7%)보다 크게 높았다.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가치 감소, 소득여건 악화 등으로 차주의 부채상환능력이 약화되면서 지방 가계부채의 건전성은 2017년부터 점차 저하되는 추세다. 실제 가계대출 중 연체차주가 보유하고 있는 대출인 연체대출 비중은 수도권과 달리 지방은 2017년 말 2.5%에서 올해 2분기 말 3.1%로 상승한 가운데, 특히 취약차주의 연체대출 비중의 상승(2016년 말 20.5%→올해 2분기 말 27.7%)이 두드러졌다.
일부 지역의 주택시장 위축 등으로 지방 주담대의 부실도 최근 증가세다. 지방 주담대 중 연체대출 비중(2017년 말 1.6%→올해 2분기 말 2.1%)이 상승한 가운데 경매주택 건수도 수도권에 비해 빠르게 증
한은 관계자는 "지방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지방 가계부채의 구조 및 차주의 상환능력이 수도권에 비해 취약한 만큼, 지방 대출 비중이 높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