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2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달 8일 기준 통신 3사 무선국 417곳 중 88곳(21.1%)이 5G 무선국 준공검사(현장검사)에서 불합격 처리됐다.
변 의원은 "지난해 9월 기준 무선기지국 준공검사 불합격률은 5.84%에 불과했으나 지난 해 11월부터 구축을 시작한 5G 기지국의 불합격률은 이보다 약 4배 높은 21.1%에 이르렀다"라고 설명했다.
무선국 준공검사는 대역 외 불필요한 전파 발사 등 기술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하는 '성능검사'와 무선국 개설신고 때 제출한 서류와 실제 준공 상태의 불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대조검사'로 나뉜다.
성능검사에서는 SK텔레콤의 불합격률이 8.7%로 가장 높았다. 이어 KT(2.8%), LG유플러스(0.9%) 순이었다. 대조검사 불합격률은 LGU+(29.2%), KT(14.8%), SKT(9.2%) 순이었다.
전체적으로는 LGU+(30.1%), SKT(17.9%), KT(17.6%) 순이었다.
![]() |
특히 가장 높은 불합격률을 기록한 LG유플러스 측은 "당사의 불합격 대부분은 성능과 관계없는사항으로, 지난 9월 9일 중앙전파관리소가 관련 고시를 개정, 개정된 고시를 적용할 경우 당사의 불합격의 무선국은 1개밖에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변 의원은 "무
[디지털뉴스국 김승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