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16% 증액하고, 100만명 규모의 유전체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사업에 착수한다. 임상 진료 데이터를 R&D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중심병원 5개도 지정할 계획이다.
4일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 추진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5월 정부가 바이오헬스 산업을 3대 중점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혁신전략의 후속조치다. 정부는 전략 발표 이후 과제별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해왔다.
우선 내년부터 혁신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예산이 크게 늘어난다. 2020년 예산 중 바이오헬스 R&D 사업에 올해보다 16% 늘어난 1조1500억원을 편성했다.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개발에 938억원,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150억원 등을 투입해 신규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국가신약개발(2021~2030, 총사업비 3조5000억원), 재생의료기술개발(2021~2030, 총사업비 1조1000억원) 등 대형 R&D 예비타당성조사도 진행 중이다. 바이오베터(바이오 개량신약)에 대한 세액공제 신규 적용 등 바이오헬스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도 강화된다.
2029년까지 100만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구축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은 내년에 시작된다. 우선 내년부터 2021년까지 2년간 2만명 규모의 데이터를 구축하는 1단계 사업을 진행키로 했다.
이와 함께 내년에는 단일 병원에서 임상 빅데이터를 R&D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중심병원을 5개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관리본부, 국립암센터 등 4대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연계해 공익적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은 이달 안에 마련된다.
또 지난달 제정된 첨단재생바이오법을 기반으로 '재생의료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해 연구를 활성화하는 한편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장기추적조사 등 세부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아일랜드 교육시스템 도입,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바이오·제약 원부자재의 국산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년에 128억원을 들여 생산 고도화 및 원료 국산화 R&D 사업을 새로 추진한다. 또 세포배양용 배지 등 기반기술 개발 연구과제 5개를 새로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 중에는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규제개선 로드맵이 수립된다. 로드맵에서는 유전자검사서비스, 신의료기술평가, 식약처 인허가 신속처리, 재생
김강립 복지부 차관은 "바이오헬스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크고 국민건강에도 기여하는 유망산업"이라며 "산업기반 확충과 규제 합리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차세대 3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정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