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제공 : 한국은행] |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2/4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 2분기 GDP 성장률은 전기 대비 1.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은이 7월 발표한 속보치(1.1% 성장) 대비 0.1%포인트 하향 수정된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속보치 추계시 이용하지 못했던 분기 최종월의 일부 실적치 자료를 반영한 결과 설비투자(+0.8%포인트)가 상향 수정된 반면 정부소비(-0.3%포인트), 총수출(-0.3%포인트)은 하향 수정된 영향으로 국민소득이 속보치를 하회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전기 대비 GDP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0%, 2분기 0.6%, 3분기 0.5%, 4분기 0.9%를 각각 나타낸 바 있다. 올해 1분기 경제성장률은 -0.4%를 기록했다.
국내총생산을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 부문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를 중심으로 1.1% 성장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줄어 1.6% 증가를 보였다. 서비스업도 의료,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0.8% 증가했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소비는 준내구재(의류 등), 서비스(의료 등)를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정부소비도 물건비 및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이 늘어 2.2% 성장했다.
건설투자도 주거용 건물건설이 줄었으나 토목건설이 늘어 1.4% 올랐다. 설비투자도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3.2% 증가를 보였다.
수출 역시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어 2.0% 늘었으며, 수입도 기계류 등이 줄어 전년보다 2.9% 증가한 수치를 나타냈다.
2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실질 국내총생산(1.0%)과 국외순수취요소소득(2000억원 → 3조9000억원)이 늘었으나 교역조건이 악화되면서 전기 대비 0.2% 증가했다.
실질 GNI는 국내 경제 활동에 초점을 맞춘 실질 GDI와는 달리 우리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GDI에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반영해 산출한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은 우리국민이 해외에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생산 활동에 참여해 번 소득을
총저축률은 2분기 34.6%로 전기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최종소비지출(+2.0%) 증가율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2.1%) 증가율은 소폭 밑돈데 기인한 것이다.
같은 기간 국내총투자율은 건설 및 설비 투자가 감소하면서 1.2%포인트 상승한 31.9%를 기록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