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6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중소기업 애로청취 간담회`에서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한 중기부 차원의 대응책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는 일본 수출규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6대 대기업과 소재·부품 제조 중소기업들이 참여하는 '소재·부품 상생협의회'를 구성하기로 했다. 협의회는 수출 규제 대상 품목 중 대기업의 수요가 높은 20~30개 품목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 [사진 제공 = 중소벤처기업부]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6일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 애로청취 간담회'를 열고 중기부 차원의 일본 수출 규제 대응책을 설명했다. 박 장관은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 우선 국산화가 필요한 소재·부품 리스트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며 "소재·부품 상생위원회를 구성해 해당 품목부터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설되는 소재·부품 상생위원회는 국산화 품목 선정부터 연구·개발, 실증 테스트, 판로 확보 등을 함께 진행할 계획이다.
↑ [사진 제공 = 중소벤처기업부]
또 중기부는 중소·벤처기업이 소재·부품 핵심기술을 개발하고도 수요가 적어 본격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를 위해 '후불형 R&D' 제도를 도입 검토하기로 했다. 예를들어 중소기업이 불화수소에 관한 특허기술이 있어도 판로와 시설투자 등의 문제로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정부가 기술을 우선 매입해 공동투자를 유도하거나, 수요업체와 연결시켜주는 방식이다. 박 장관은 "8년전 고순도 불화수소를 개발했던 중소기업 특허기술도 후불형 R&D와 같은 제도가 있으면 빛을 볼 수 있다"며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도 사장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 3000억원 규모의 '소재·부품 전용 벤처펀드'를 조성해 핵심기술을 개발한 벤처와 관
련 기업 M&A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박 장관은 "일본이 지난 7월 1일 3대 품목에 대한 수출규제를 시작한 이후 아직 직접적인 중소기업 피해를 신고되지 않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돼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찬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