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경제 보복이 현실화되면서 우리 경제에 초비상이 걸렸습니다.
경제부 정주영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 질문 1 】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이 급감했는데, 일본발 초대형 악재까지 터졌어요.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가요?
【 기자 】
생각보다 문제가 너무 심각해서 안팎으로 우려의 목소리 터져 나옵니다.
지난달 우리나라 수출은 13.5% 줄어 7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찍었습니다.
지난 2016년 1월 이후 감소 폭이 3년 5개월 만에 가장 큽니다.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가 25% 줄었는데, 특히 D램 가격이 반토막난 영향이 컸고,
국가별로는 미중 무역분쟁 여파로 중국 수출이 24%나 줄었습니다.
여기에 일본 악재까지 엎친 데 덮친 격인데, 피해액은 추산조차 불가능합니다.
【 질문 2 】
일본은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이 아니라는데, 보복이 맞는 거죠?
【 기자 】
맞다는 게 중론입니다.
지난주 아베 내각은 G20 정상회의라는 대형 외교전을 펼쳤지만, 지지율은 떨어졌습니다.
조금 전 요미우리신문이 발표한 여론조사를 보면, 아베 내각 지지율은 53%로 직전 조사보다 2%포인트 내렸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직후 한국으로 넘어왔고 정전 66년 만에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이 만나는 초대형 이벤트가 펼쳐졌죠.
일본이 사활을 걸었던 G20 정상회의가 한반도발 뉴스에 묻힌 셈인데요.
8개월 전 강제징용 배상 판결, 또 G20 정상회의 결과에 뿔이 난 일본이 경제 보복 카드를 강행한다는 분석입니다.
【 질문 3 】
지난해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면서요.
그동안 우리 정부는 뭘 했죠?
【 기자 】
지난해 11월 일본 정부가 한국으로 수출될 불화수소 일부를 이틀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불화수소란 반도체 세정에 쓰는 전략물자여서 당시 우리 기업들이 비상이 걸렸었고요.
당시 산업통상자원부는 "일본의 수출제한 관련 동향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던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어떤 대책을 준비했었는지 오늘(1일) 산업부에 수차례 연락했지만, 답변을 들을 순 없었습니다.
【 질문 4 】
앞서 강경화 장관이 일본이 보복하면 우리도 가만있을 수 없다고 말했었죠.
우리는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나요?
【 기자 】
지난달 25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국회에 나와 일본의 보복 문제를 언급했었습니다.
"일본의 보복성 조치가 나온다면 거기에 대해 가만있을 수는 없다"는 발언이었는데요.
G20 정상회의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불발된 것만 봐도 한일 간 깊은 외교 갈등이 느껴지죠.
일본 의회에서 경제 보복 카드를 만지작 거린지가 좀 됐다는 얘기도 들리는데요.
산업통상자원부가 조금 전 깊은 유감이라고 밝혔지만 수입선 다변화, 국내 생산설비 확충 등 원론적인 대책이 전부인 게 현실입니다.
【 질문 5 】
우리나라에 대체품이 있다던데, 그걸로는 모자란 건가요?
【 기자 】
이번 사태로 비상근무에 들어간 한 대기업 관계자와 직접 통화했는데요.
흥미로운 비유로, 유명 고깃집에 그동안 납품받던 고기가 갑자기 안 들어온다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다른 거래처에서 고기를 사서 팔순 있겠죠.
하지만, 예전의 맛을 유지하긴 어려울 거다 이런 반응이었는데, 이게 지금 국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이 처한 상황이란 뜻입니다.
한 업계 전문가는 "국내 업체들이 일부 생산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퀄리티 등에서 분명히 차이가 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공교롭게도 오늘(1일) 국내 소재 업체들 주가는 수혜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대체품 관련해선 조금 더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질문 6 】
일본 기업들도 비상이죠? 이들의 피해는요?
【 기자 】
일본 소재 기업들은 역타격을 받을 것 같습니다.
한국에 수출해서 먹고살아 왔는데, 대체 수요처로 대만이 있긴 하지만 수요는 미미하거든요.
때문에 일본이 자충수를 뒀다, 한국 길들이기용이란 해석도 나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한국 대기업들이 대체 국가 확보 등 '탈일본'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일본의 두려움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 앵커멘트 】
일본이 부끄러운 과거를 사과하기는커녕 애먼 경제 문제를 엮고 있습니다.
일본 스스로에게도 득이 될 게 없는 행태에 맞서 우리 정부가 적절하고 강력한 조치로 문제를 풀어나가길 기대합니다.
정주영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