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실질 가처분소득은 2016년 4분기부터 사실상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실질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10개 분기 중 9개 분기에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실질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6년 4분기 -1.2% 이후 2017년 2분기 -1.4%까지 하락한 후 소폭 등락을 거듭하다 2018년 3분기 -1.3%로 하락했다. 이후 2018년 4분기 0.3%로 반짝 상승했다가 2019년 1분기 다시 -1.0%로 떨어졌다.
같은 기간 실질 가계소득 증가율은 플러스 성장률 보이며 실질 가처분소득과 다른 행보를 보였다.
실질 가계 소득 증가율은 2016년 4분기 -1.2%, 2017년 1분기 -1.3% 등 하락세를 보이다가 2017년 4분기 1.6%로 상승 반전했다. 2018년 1분기에는 2.6%, 2분기 2.7%, 3분기 3.0%까지 올랐다가 최근 다시 둔화하는 모습이다.
이 같이 실질 가계소득이 증가세에도 실질 가처분소득이 줄어든 것은 조세,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 보험료 등 사회 복지, 이자 비용 등 비자발적인 가계 부담 증가 폭이 소득 증가분을 앞질렀기 때문이다.
2018년 실질 가계 소득은 근로 소득과 공적 보조를 포함하는 이전 소득을 중심으로 2017년 대비 44만2000원정도 늘었다. 이에 반해 조세, 사회보장, 이자 비용 등이 증가하면서 2018년 실질 비소비 지출은 2017년 대비 50만9000원정도 증가했다.
실질 소득 증가보다 비소비 지출 증가가 커지며 2018년 실질 가처분소득은 2017년 대비 6만7000원 감소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낮아진 것이다.
이와 관련 이태열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2016년 4분기 이후 2년 이상 감소세를 지속하는 것은 내수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가계의 구매력 하락은 소비와 저축여력 감소를 의미하기 때문에 최종 소비재
그는 이어 "특히, 최근 수출까지 둔화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면 내수경제의 지속적인 위축은 성장동력을 약화시킬 수 밖에 없다"면서 "가계 경제력 회복 차원에서 소득 증가와 함께 가계의 비자발적 부담 관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